【STV 박상용 기자】김종혁 국민의힘 조직부총장은 25일 이번 총선 패인으로 ‘용산 책임론’을 지목했다. 그간 용산 책임론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으나 구체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을 강도 높게 거론한 것은 김 부총장이 처음이다. 김 부총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진행한 ‘제22대 총선이 남긴 과제들’ 토론회에 참석해 “이번 선거는 개인 인물이 아니라 결국 바람이었다. 정권 심판론이 휩쓴 선거였다”며 “대통령이 하고자 하는 정책이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는 대통령의 태도가, 대통령 부부의 모습이 싫다는 사람들이 (선거 현장에) 많았다. 사람들 마음을 좌우하는 건 콘텐츠가 아니라 태도”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부총장은 “현장에서 행복한 소상공인은 단 한 명도 못 봤다”면서 “경제가 힘들다고 국민들은 아우성인데, 용산 대통령실 경제수석이나 관료들은 ‘우리 정부가 잘못한 게 아니다’, ‘수출은 잘 되고 있다’라고만 했다. 사과·대파·양파값이 올라 국민들이 어렵게 돼서 정말 죄송하다는 말은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라고 성토했다. 김 부총장은 “경제 추락에도 (윤 정부) 사람들은 딴 얘기만 하고 있었다. 그러니 현장에서 ‘경제가 이렇게 어려운
【STV 박상용 기자】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은 25일 차기 원내대표 선거에 대해 “개인의 명예나 이익을 위해 뛰는 사람보다는 당을 잘 되게 할 사람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찐윤(친윤석열계 핵심)’으로 평가받는 이 의원은 이날 공개된 강원일보와 인터뷰에서 “내 선거는 이겼지만 전국적으로 결과가 좋지 않으니 마음이 무겁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당 대표를 누가 하니, 원내대표 누가 하니 하는 부분도 어찌 보면 송구하고, 곤혹스럽다”라고 했다. 이 의원은 “주변에서 (원내대표) 역할을 요청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아직 깊이 고민해 보지 않았다”면서 “지금은 당선자들이 같은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도록 아우르는 게 제일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국민의힘이라는 정당 아래에 모였으니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 중심으로 가야 한다”면서 “사람 중심으로 가면 안 된다. 누구를 대표로 뽑아도 당의 가치를 공유하고 이를 지켜낼 수 있어야 한다”라고 했다. 그는 “개인의 명예나 이익을 위해 뛰는 사람보다는 당을 잘 되게 할 사람이 필요하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 의원은 “당 대표든 원내대표는 적임자가 있다면 그를 발굴하는 일에 정치적 자산을 쓰고자 한다. 필요하다면 백의종군
【STV 박상용 기자】다음 달 3일 치러질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거에 ‘찐윤’(진짜 친윤석열) 이철규 의원의 출마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로 친윤당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의원은 지난 23일 영입인재 당선자 모임을 가졌고, 24일 낙선 영입인재, 25일 공천을 받지 못한 영입인재와 세 번의 모임을 가진다. 이 의원 총선 당시 인재영입위원장으로 활동해 해당 모임에 대해 “격려와 축하 차원의 통상적 자리”라는 설명에도 세 불리기를 위한 사전 선거운동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총선에서 3선을 달성한 이 의원은 친윤 중에서도 대통령과 가까운 찐윤으로 분류된다. 총선에서는 인재영입위원장으로 40여명을 영입했으며, 이 중 10여 명이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국민의힘의 비례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명단을 놓고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강하게 대립하기도 하는 등 친윤으로서 면모를 과시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무총장직에서 물러났지만, 2주 만에 인재영입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22대 총선 공천 관리위원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이 의원의 출마가 유력하게 점쳐지면서 국민의힘이
【STV 박상용 기자】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던 한동훈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전 비대위원들과 지난주 만찬 회동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복수의 만찬 참석자들에 따르면 한 전 위원장은 지난주 서울 모처에서 전 비대위원들과 만찬을 했다. 앞서 지난 19일 한 전 위원장은 건강상의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과의 오찬 제안을 거절한 바 있다. 한 참석자는 “한 전 위원장의 건강도 염려되고 해서 만난 자리”라고 했다. 한 전 위원장은 “이런 시간에 익숙하다, 이 시간을 충분히 활용해서 내공을 쌓겠다”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찬 참석자들은 “한 전 위원장 덕분에 수도권에서 그나마 선전했다”라면서 한 전 위원장을 위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참석자는 한 전 위원장에 대해 “몹시 지쳐 보였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한 전 위원장이 윤 대통령과 오찬 회동을 거절하자 친윤(석열)계 인사들은 불쾌한 감정을 여과없이 드러내고 있다. 친윤 중진 권영세 의원은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대통령 초청 오찬을 거절한 건 잘못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권 의원은 “한 위원장이 잘못했다고 생각한다”면서 “어떻게 연락이 갔든 그다음에 시간 텀도 너무 숏 노티스(short
【STV 박상용 기자】4·10 총선 대패 후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각 주자들은 저마다의 행보로 차별화를 시도하는 중이다. 국민의힘 대권주자들은 잰 걸음을 보이고 있다. 총선을 진두지휘했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과 일정한 거리를 두는 입장문을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윤 대통령이 총선 이후 한 전 위원장에게 오찬 제안을 했지만 한 전 위원장이 건강을 이유로 회동을 거절한 사실도 알려졌다. 여당 정치인이 대통령의 회동 제안을 거절한 것 자체가 화제가 되면서 또다시 윤·한 관계 이상설이 힘을 얻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오해, 억측을 일으킬 수 있다”(홍석준 의원), “한 전 위원장이 잘못했다”(권영세 의원) 등 비판이 나왔다. 이에 반해 홍준표 대구시장은 총선 직후 ‘윤 대통령 감싸기’와 ‘한동훈 때리기’에 집중하며 차별화를 해왔다. 홍 시장은 “대통령은 선거 중립의무가 있다” “셀카만 찍다가 (선거) 말아 먹었다”며 선거 참패의 책임을 한 전 위원장에 미룬 데 이어 “윤 대통령을 배신한 사람. 우리 당에 얼씬도 하지 말라”면서 맹공을 퍼붓기도 했다. 홍 시장은 “나라의 안정을 위해 대통령을 흔드는 것은 반대한다”면서도
【STV 박상용 기자】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차기 당 대표 선거 불출마 보도에 대해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라고 했다. 안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지금은 아무것도 결정하지 않았다는 것이 팩트”라면서 “저는 일관되게 같은 얘기를 했는데 듣는 분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했던 것 같다”고 했다. 앞서 안 의원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7월로 예상되는 우리 당 전당대회에 나가지 않는 쪽으로 생각을 정리했다”며 “22대 국회가 개원하면 당 대표보다 4선 중진으로서 당과 국회에서 해야 할 일이 많다”라고 밝힌 바 있다. 4·10 총선 대패 이후 당정 분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높아지면서 수도권 4선에 비윤(석열)계인 안 의원이 차기 당권주자로 유력하게 부상한 상황이다. 안 의원은 ‘전당대회에 절대 안 나간다는 말씀은 아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나중에 고민해 보겠다”면서 “지금은 제 머릿속에 없다”라고 즉답을 피했다. 이어 저는 어떻게 당을 개혁할 것인가와 의료 대란 부분에만 집중하는 상황”이라며 “지금은 비상대책위원회도 없고 언제 전당대회가 열릴지도 모르고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는데 (당 대표 출마를 결정하는 것은) 성급한 일”이라고
【STV 박상용 기자】홍준표 대구시장은 22일 “아직 대선은 3년이나 남았다”면서 “지금은 윤(석열) 정부에 협조하고 바른 조언을 해야 나라가 안정적이 된다”라고 했다. 홍 시장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나는 친박(근혜)이 아니어도 박근혜 탄핵 반대했고, 박근혜 탄핵인용 헌재 심판도 비판했던 사람”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그건 헌정중단이어서 나라의 안정을 위해 반대했던 거지, 친박 이어서 반대한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홍 시장은 “나는 친윤이 아니어도 나라의 안정을 위해서 대통령을 흔드는 건 반대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 시장은 “잡새들은 이를 두고 친윤 운운하지만, 나를 계파구도에 넣는 것은 참으로 모욕적”이라고 분노했다. 그는 “나는 30여년 정치역정에 단 한 번도 계파정치를 한 일이 없다”면서 “내가 꿈꾸는 세상은 따로 있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홍 시장은 자신이 꿈꾸는 세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지는 않았다. 홍 시장은 “3류 평론가들은 이를 두고, 누구와 경쟁구도 운운하기도 하지만 잡설(雜說)로 국민들을 혼란케 하는 것은 나라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일갈했다. 그는 또 “국회와 소통되고 충직한 분으로 정진석 (대통령)비
【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이 총선 참패 후폭풍을 겪고 있다. 차기 대권주자들이 ‘네 탓’을 하면서 싸우는가 하면, 수도권과 영남으로 나뉘어 서로 비난을 주고받는 중이다. 국민들은 고물가에 시름하고 있는데 정책 대안 제시에는 관심 없는 듯 보인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책임론을 연일 제기하면서 “윤석열 대통령도 배신한 사람”이라고 비난을 퍼부었다. 이에 한 전 위원장은 총선 후 침묵을 깨고 “잘못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은 배신이 아니라 용기”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윤 대통령과 지근거리에 있는 이들은 홍 시장 편에 서고, 낙선자 일부는 한 전 위원장 편에 서면서 윤·한 갈등이 3라운드로 접어든 양상이다. 한 전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22일 오찬 초청마저 건강상의 이유로 거절했다. 국민의힘 내부도 영남 대 수도권으로 나뉘어 반목하고 있다. 수도권 당선인들이 ‘영남 일색의 당 지도부’를 패배의 원인으로 꼽자 대구 당선인은 “맨날 영남 탓이냐”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제대로 된 패인 분석과 당 쇄신안 논의없이 오로지 반목과 분노만 표출하는 모양새다. 경쟁상대인 더불어민주당은 ‘비명횡사 친명횡재’ 공천 파동을 겪은 후 원팀으로 뭉쳐 ‘정권심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