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21대 대통령선거가 12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상조·장례업계의 시선도 대선으로 쏠리고 있다. 대선 때마다 각 후보의 캠프에 각 업계의 견해가 피력되는 가운데 상조·장례업계는 어떤 것을 어필하길 원할까. 일단 상조업계의 경우 ‘상조업법’의 정착을 바라는 분위기다. 상조는 ‘할부거래법’의 적용을 받는다. 할부거래법은 ‘선불식 할부거래업’을 관장하는데 여기에는 상조뿐만 아니라 여행도 적용되면서 정체성이 애매해졌다. 이에 상조업계에서는 ‘상조업법’이 하루 빨리 신설돼 정착되길 원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상조를 공식명칭으로 규정하고 업의 성격을 분명히 함으로써 상조업의 위상이 올라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상조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정부에서는 보다 상조가 제대로 관리되길 바란다”면서 상조업법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장례업계에서는 하루 빨리 장례지도사 자격증이 자리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장례지도사 자격증은 현재 무시험으로 300시간 이상을 이수할 경우 취득할 수 있다. 문제는 국가 자격증을 발급하는 기관의 교육 수준이 중구난방이라는 점이다. 이에 따라 장례지도사마다 수준이 천차만별이며, 수준 이하의 장례지도사도 배출되고 있어 간혹 유족
【STV 김충현 기자】21대 대선에 출마한 주요 대선 후보들은 유세 스타일이 확연히 다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안정적으로 수비에 치중하고 있고,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공격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 후보는 상대 후보를 직접 호명하거나 공격을 퍼붓는 경우가 없다. ‘내란 세력’ 등으로 지칭하며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다만 자신을 향한 공격은 철저히 막는다. ‘커피 원가 120원 발언’이나 ‘호텔경제론 발언’으로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비난 여론이 커지자 황급히 해명에 나섰다. 김 후보는 이 후보를 겨냥한 철저한 공격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난 20일 서울 경기 유세에서는 김 후보는 ‘도둑놈’ ‘범죄자’ ‘연탄가스’ 등 정제되지 않은 표현을 동원해 이 후보를 비난했다. 아무래도 이 후보가 여론조사 상에서 앞서가는 분위기가 감지되다보니 김 후보는 이 후보를 추격하는 입장에서 거센 비판으로 따라잡기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언더독’ 이준석 후보는 양측을 모두 비판하며 대안세력으로 자리매김하려 한다. 지난 17일 성수동 유세에서 이준석 후보는 ‘윤석열(전 대통령)의 잘못된 계엄’을 꼬집으면서도 “그가 사라진 공간에 지독한 포퓰리스
【STV 김충현 기자】유권자 절반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더라도 임기 중 재판을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1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권자의 50%가 ‘이 후보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대통령 임기 중에 재판을 진행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재판을 중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38%, 모르겠다는 응답은 12%에 그쳤다. 민주당은 국정 안정을 이유로 ‘대통령 임기 중 재판 중지’ 법안을 추진 중이지만 국민 절반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다. 민주당은 ‘대통령이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소추를 받지 않는다’는 헌법 84조 규정 취지를 명확히 한다는 이유로 형사소송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재판이 진행될 경우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면서 국정 안정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응답자의 절반이 ‘재판이 계속 진행돼야 한다’고 답변하면서 민주당의 의도가 관철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캐스팅보터인 중도층은 ‘재판 진행’에 무게를 실었다. 자신이 중도 성향이라고 밝힌 유권자층 46%는 ‘재판 진행’, 36%는 ‘재판 중지’, 18%는 ‘모르겠다’라고 답했
【STV 김충현 기자】“결국 모든 B2C는 양극화 될 겁니다. 지금 장사가 잘 되는 건 백화점 아니면 다이소밖에 없어요.” 요즘 기업인을 만나면 흔히 듣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경제 불황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사람들의 지갑이 닫히면서 소비의 양극화가 일어난다. 최근에는 그런 행태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 농담반 진담반으로 ‘장사되는 곳은 백화점 아니면 다이소’라고 한다. 특히 다이소에는 저가 가성비(가격 대비 효능이 높음) 제품을 사려는 사람으로 발 디딜 틈이 없다. 실제로 유통업계에서는 ‘불황형 소비’가 확산하고 있으며, 다이소로 대표되는 ‘요노(YONO·You Only Need One)’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등장했다. 요노는 ‘하나면 충분하다’라는 초저가 가성비 소비를 의미하는 뜻으로, 과감한 소비를 지향했던 욜로(YOLO·You Only Live Once) 트렌드와 정반대되는 것이다. 이처럼 가성비 소비가 대세로 떠오르면서 상조·장례 분야에서도 양극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고급 상조·장례 상품과 실속형 알뜰 상품으로 나뉘어 소비가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 경영 컨설턴트는 “요노족은 단순히 저가만 바라는 게 아니라 가성비를 철저하게 따
【STV 김충현 기자】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 영화 관람에 나선 것에 대해 “우리 당과 관계없는 분”이라며 선긋기에 나섰다. 김 위원장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태평양 플라스틱 쓰레기 섬 친환경 처리를 위한 기술 포럼’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에 대해 “비상계엄에 대해 반성하고 자중하셔야 할 때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이처럼 말했다. 이어 ‘김문수 대선 후보가 윤 전 대통령과 관계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혀야 하는 게 아니냐’라는 질문에는 “내가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하며 단절과 단연에 대해 명확히 이야기했고 ‘탄핵의 강’을 넘겠다라고 했다”면서 “김 후보도 당 입장을 존중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 변혼인단이며 ‘계몽령 발언’으로 유명해진 김계리 변호사의 국민의힘 입당에 대해서는 “비대위원장으로 계엄에 대해 사과했고, 잘못된 판단이라고 말씀드린 바 있다”면서 “계엄을 옹호하거나 그런 생각을 가진 분들이 당원이 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있다”라고 거리를 두기도 했다. 전날 자신이 제안한 ‘대통령 후보 배우자 TV 생중계 토론’에 대해서는 “전 대통령의 (김건희) 여사 관
【STV 김충현 기자】대통령 선거가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양강 후보의 노동 공약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모두 어렸을 적부터 노동에 큰 관심을 가졌다. 이 후보는 10대 시절 소년공을 근무하다 프레스 기계에 팔을 다쳤으며, 김 후보는 1980년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노동 분야 경험이 각별하다. 하지만 대선 국면에서 두 후보의 노동 정책은 확연히 구분된다. 이 후보는 노동자 친화 공약을 내놓았다. 노란봉투법, 주 4.5일 근무제, 근로 감독 강화, 정년 연장 등을 골자로 한다. 이에 반해 김 후보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1호 공약으로 세우고 일자리 창출 및 기업 자율성 강화에 힘을 실었다. 노란봉투법은 위헌, 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이라는 강성 발언으로 노동계에서 지탄을 받기도 했다. 노란봉투법은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으로 노조법상 사용자 범위를 하청 노동자와 직접 계약 관계가 없는 원청 업체로 확대하고(2조) 파업 노동자에 대한 사용자의 손해배상 청구권을 제한(3조)한다. 이 법안은 21·22대 국회에서 두 차례 통과됐음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무산된 바 있다. 김 후보는 “헌법에도, 민법
【STV 김충현 기자】6·3 조기 대선이 2주 앞으로 다가온 2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48.9%,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39.1%로 나왔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1.9%, 국민의힘 36.7%로 나타났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가 17일부터 19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17명을 대상으로 ‘지지하는 대선 후보’를 물은 결과 이재명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48.9%, 김문수 후보는 39.1%로 나타났다. 이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6.9%,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는 1.3%, 기타 후보는 0.9%로 집계됐다. ‘지지 후보 없음’은 1.5%, ‘잘모름’은 1.3%였다. 성별로는 남성 중 이 후보 지지 비율이 49.4%, 김 후보는 35.5%로 나타났으며, 여성 중 이 후보 48.4%, 김 후보 42.6%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따지면 부산·울산·경남 지역과 대구·경북 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 후보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1.9%, 국민의힘이 36.7%였고, 개혁신당 5.2%, 조국혁신당 2.1%, 진보당 1.5%, 민주노동당 1.4%, 기타정당 1.8%로 나타났다
【STV 김충현 기자】상조의 위상이 높아지자 타업종의 협업 요청이 잦아지고 있다. 20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상조업계 최상위권 업체인 보람상조·프리드라이프와의 협업으로 시너지 효과를 모색한다. 상조 가입자가 900만 명에 육박한데다 양대 상조업체의 회원 수도 만만치 않아 국민은행은 이 업체 회원들의 전용 고금리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이 상조업계와 콜라보(협업)에 나선 것은 특기할만한 일이다. 수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금융권이지만 업계의 위상이 낮은 분야와는 협업 자체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권의 콜라보 요청은 상조업계의 위상이 전에 비해 올라갔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몇 해 전만 해도 상조업계 최상위 업체들조차 타 업계와 협업에 어려움을 겪었다. 2년 전 한 상조업계 최상위권 업체 관계자는 “협업을 하고 싶어도 ‘상조는 좀…’이라며 물러서는 업체들이 있어 협업 자체가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상조 선수금이 10조 원을 돌파하고 회원이 1000만 명에 육박하자 경제계에서도 상조를 보는 눈이 달라지고 있다. 대교, 코웨이, 웅진그룹 등 대기업들이 속속 상조에 진출하는가 하면, 상조업계와 협업을 위해 손을 뻗고 있는 것이다. 상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