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여야가 모두 강경파 지도부를 맞이하면서 향후 정치 지형은 극한 대립으로 치닫고 있다. 국민의힘이 26일 새 대표로 강성 반탄파인 장동혁 의원을 선출한 데 이어, 더불어민주당은 이미 초강경 노선을 천명한 정청래 대표 체제를 출범시킨 바 있다. 양당의 노선이 정면 충돌을 예고하는 구도다.
장 대표는 당선 직후 "모든 우파와 연대해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겠다"고 말하며 반정부 투쟁을 전면에 내세웠다. 쇄신론이나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거리 두기를 주장한 당내 인사들을 "내부 총질자"로 규정한 태도 역시 협치보다는 투쟁에 방점을 찍고 있다. 반대로 정청래 대표는 국민의힘을 "내란 정당"이라 부르며 해산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제1야당과의 최소한의 대화조차 거부하는 입장은 한국 정치가 앞으로 어디로 향할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문제는 이러한 강대강 구도가 국민에게 아무런 이익도 주지 못한다는 점이다. 민주당은 ‘더 센 3대 특검법’과 검찰·사법·언론개혁을 밀어붙이려 하고, 국민의힘은 이를 ‘야당 탄압’이라 규정하며 반발하고 있다. 내달 정기국회에서는 국정감사와 예산 심사까지 겹친다. 국회가 정책 경쟁의 장이 되기는커녕 정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것이 뻔하다.
정치 지도자의 역할은 상대를 적대시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협력의 길을 찾는 것이다. 장 대표가 "필요하다면 누구든 만나겠다"고 했으면서도 "악수와 만남이 곧 협상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은 것은 우려스럽다. 정 대표 또한 국민의힘을 아예 대화 대상에서 배제하는 태도를 고수해서는 안 된다. 여야 모두 강경한 언사에만 매달린다면 정치의 신뢰는 더 추락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다.
극한 대결의 악순환을 끊어내야 한다. 새로운 지도부가 보여줄 첫 행보는 서로에 대한 비난 경쟁이 아니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의제에서 최소한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이 되어야 한다. 그것이야말로 지금 여야 모두에게 주어진 책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