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지금은 우리가 (중국과) 지리적으로 매우 가깝기 때문에 불가피한 관계를 잘 유지하는 수준에서만 가고 있는 것이지, 미국의 기본 정책에 어긋나게 판단하거나 행동할 수 없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워싱턴DC 미국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 강연에서 존 햄리 CSIS 소장이 ‘한국은 항상 한미동맹을 견지해왔으나 경제적으로는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다’라고 묻자 이처럼 답했다.
이 대통령은 또 “최근 몇 년 사이 자유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진영 간 공급망 재편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또 미국의 정책이 명확하게 중국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가면서 한국도 과거와는 같은 태도를 취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라고 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가난하지만 사나운 이웃은 억압한다고만 모든 게 해결되지 않는다”라고 말문을 뗐다.
이어 “강력하게 제압은 하되, 상황이 더 악화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체적 노력도 필요하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더 이상 (핵무기를) 생산하지 않는, 그래서 더 이상 (위협이) 다른 나라로 확산되지 않게 하는, ICBM 개발도 멈춰서 미국에 위협이 되지 않게 하는 현실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라고 했다.
햄리 소장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대한 소회를 묻자 “참모들 사이에는 '젤렌스키와 트럼프같은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 우려했지만 저는 이미 그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었다”라고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2시간 30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라고 적어 파문이 일어났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생중계 회담에서 젤렌스키(우크라이나)·라마포사(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처럼 수모를 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으나, 이 대통령은 이 같은 상황은 없을 것이라 예상했다는 것이다
이 대통령은 “왜냐하면, 제가 트럼프(대통령)가 쓴 거래의 기술, 'The Art of the Deal'을 읽었기 때문”이라며 “이 분이 하나의 협상 기술로 상대가 감내하기 어려운 조건을 던지긴 하지만, 최종적으로 불합리한 결론에 이르게 하지는 않는다는 게 책에 있고, 이미 그런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한미동맹은 중요해서 거기 상처내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