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예상됐던 불상사나 외교적 충돌 없이 회담을 마쳤다는 점에서 일단 ‘무난한 첫 단추’라는 평가를 받을 만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당신은 미국으로부터 완전한 지원을 받게 될 것", "스마트하다"는 말로 이 대통령을 치켜세운 것도 긍정적인 분위기를 보여준다.
그러나 정상회담에서 가장 민감한 의제들이 비껴간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관세 협상, 방위비 분담금 증액,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확대 등 미국이 오래 전부터 제기해 온 요구들은 테이블 위에 올라오지 않았다. 이는 회담을 무난히 마치기 위해 잠시 미뤄둔 것일 뿐, 결국 한국이 감당해야 할 ‘청구서’는 남아 있다는 의미다. 실제 미 상무부 장관이 시장 개방을 직접 언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읽혀야 한다.
이 대통령이 강조해 온 ‘국익중심 실용외교’는 이번 회담을 통해 첫 시험대에 올랐다. 과거 ‘안미경중’ 노선과 달리 동맹을 강화하면서도 중국·러시아와의 관계를 관리하겠다는 접근은 현실적이다. 그러나 북한의 거듭된 비난과 중국의 경계심은 이 노선의 실현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더구나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예측불가한 태도는 언제든 한국 외교를 압박할 수 있는 변수다.
따라서 이번 회담의 성과를 과도하게 포장할 필요는 없다. 웃음과 친교가 있었다는 사실보다 중요한 것은 이후 이어질 통상·안보 협상에서 국익을 지켜낼 수 있느냐 하는 문제다. "국민 중심 실용외교"라는 구호가 진정한 외교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는 냉정하고 치밀한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