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형석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DC에 도착한 날, 한국 정부는 중국에 특사단을 파견했다. 이는 한미동맹을 외교의 축으로 두되, 동시에 한중관계도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행보로 풀이된다.
특사단은 한중 수교 33주년인 24일 베이징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을 만나 “한국은 국익과 실용에 기반해 한중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진백 국립외교원 연구교수는 “이 대통령이 미국에 가는 시점에 중국에 특사단을 보낸 것은 실용 외교 차원의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한국은 무역 보호주의에 반대하고 다자주의를 실천해야 한다”며 미국 주도의 일방주의를 견제하는 메시지를 던졌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은 한국 측 보도자료에는 담기지 않아 양측 입장 차이가 드러났다. 중국 외교부는 오히려 한국이 “항상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해 왔다”는 점을 강조해 발표했다.
서해 문제도 쟁점으로 언급됐다. 한국 외교부는 “상호 관심사를 존중해야 한다”고 밝혔지만, 중국은 자국 보도자료에서 관련 언급을 생략했다.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설치한 구조물을 두고 한국은 영향력 확대 의도 가능성을 우려하며 자제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특사단 일정에는 시진핑 국가주석 면담이 포함되지 않았다. 한국 정부가 면담을 요청했으나 성사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주재우 경희대 교수는 “미국이 대중 견제를 강하게 요구할 수 있어 중국이 특사단을 환대하기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