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미국 언론들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3500억 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의제를 예상했다.
뉴욕타임스(NYT)는 “두 정상은 집권 전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으며, 북한 지도자 김정은과의 만남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라면서 “70년에 걸친 동맹 관계, 특히 중국과 대만의 잠재적 충돌에 대해선 양측의 우선순위가 갈린다”라고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트럼프 행정부는 주한미군의 역할을 중국 견제로 확대하는 만큼, 한국이 자국 방위에 더 큰 책임을 지라고 요구한다”며 “미국이 '전략적 유연성'이라고 부르는 이 정책에 대해 한국은 대북 (방어력을) 취약하게 만들고, 대만을 둘러싼 전쟁에 빨려 들어갈 가능성을 높인다면서 우려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관세를 레버리지로 한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패키지 요구, 미군의 주둔 비용에 대한 분담금 인상 요구 등에 “다수의 한국인이 미국의 보호에 의존하는 대신 자체 핵무기를 보유하기를 원하고 있다”라고 여론조사가 발표됐다고 전했다.
NBC는 이 대통령의 방일을 앞둔 지난 22일자 보도를 통해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에는 한국이 미국 산업을 위한 3천500억달러 규모의 투자기금 세부 사항을 구체화하는 논의가 포함될 수 있다”며 “이는 트럼프가 한국과 관련해 강조해 온 조선업 협력을 중심으로 한다”라고 관측했다.
한국은 지난달 30일 미국과 무역협상에 합의하며 ‘마스가(MASGA·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로 호명한 한미 조선 협력 펀드 1500억 달러를 포함해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펀드 조성을 발표했다.
대미 투자 펀드는 주로 직접투자가 아닌 대출이나 보증 위주가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NBC는 “양국 지도자들에게 중요한 주제는 수십 년 된 군사 동맹의 미래”라면서 “미국은 오랫동안 북한을 억제하기 위해 한국에 주둔시키는 약 3만명의 병력을 한반도 밖의 임무에도 사용할 수 있는 더 큰 유연성을 수용하라고 촉구해왔는데, 이런 요구는 트럼프 체제에서 더 강해졌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와 군 고위 관계자들의 발언은 미국이 주한미군 유지비를 더 내라고 압박하는 것 외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을 둘러싼 중국과의 충돌에 대응할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한미군을 재편하려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