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 당권 경쟁이 결선으로 치닫는 가운데 김문수 후보와 안철수 의원의 회동은 보수 정치의 현주소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김 후보는 표심 확장을 위한 ‘통합’을 강조했지만, 안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절연’을 요구하며 선을 그었다.
김 후보는 회동 후 "힘을 합쳐서 내년 지방선거를 이기는 방법을 찾아내야 하지 않냐는 이야기를 주로 했다"고 밝혔다. 또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국민의힘 내에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서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대선 백서 제작 등 안 의원의 혁신안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결선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기 위한 ‘포용 행보’로 읽힌다.
그러나 안 의원의 메시지는 정반대였다. 그는 "다른 후보를 지지하고자 하는 회동이 아니다"라며, "우리 당이 혁신해야 하고 윤 전 대통령, 계엄 옹호와 절연해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고자 만났다"고 못 박았다. 나아가 "통합을 위해 탄핵을 옹호하는 세력을 받으려 하기보다, 차라리 나가서 따로 당을 차리는 게 더 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한 입장 차이가 아니라, 보수정당의 정체성과 미래를 둘러싼 노선 충돌이다.
김 후보가 말하는 통합은 현실 정치에서 표를 모으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일 수 있다. 그러나 안 의원이 지적했듯, 탄핵과 계엄 문제에 대한 성찰 없이 이뤄지는 통합은 공허하다.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 판결이 났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 분들이 과반수라는 것에 충격을 받았다"는 안 의원의 발언은 국민의힘이 직면한 현실을 날카롭게 드러낸다.
한편, 장동혁 후보는 "내란 동조 세력이 전대 이후에도 입장을 유지한다면 함께 갈 수 없다"고 선을 그으며 원칙론을 택했다. 김문수 후보의 포용 전략과는 대조적이다.
결국 이번 전당대회 결선은 단순한 당 대표 선출을 넘어, 보수정당이 과거의 굴레에서 벗어나 민주적 가치에 기반한 새로운 보수로 나아갈 수 있을지, 아니면 여전히 탄핵과 계엄의 그림자에 머물 것인지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이다. 국민의힘은 어느 길을 선택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