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이영돈 기자】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전후 안전보장 논의에 자국이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중국까지 포함해 논의를 해야 한다는 뜻도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주장과 배치되는 입장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평화협상 전망에도 회의론이 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 “우크라이나에 실질적 안보 보장을 제공하는 논의에 러시아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러시아 없이 집단 안보 문제를 해결하려는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라고 했다.
이어 “러시아는 중국, 미국, 영국, 프랑스 같은 나라들과 동등하게 참여하는 조건에서만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 보장을 수용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는 평화협정이 가능하다고 호언장담한 미국의 전망이 무색해지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5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알래스카 회담에서 우크라이나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식 집단 방위 보장을 허용했다고 밝힌 바 있다.
나토식 집단방위는 상호방위 조항 제5조를 말한다. 이 조항은 회원국 중 한 국가에 대한 공격을 회원국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집단 대응하는 원칙이다.
하지만 라브로프 장관은 이날 2022년 이스탄불 평화회담에서 논의된 안보 보장안을 재차 제안했다.
러시아는 당시 우크라이나 중립화, 즉 우크라이나 영토에 외국군 주둔 금지와 나토 가입 불가, 자국 군사력 제한, 특정 영토에서 병력 철수, 러시아어 사용 보호 조항 등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또한 우크라이나가 다시 공격받을 경우 영국·중국·미국·프랑스·러시아 등 이른바 ‘보장국’이 방어에 나서도록 규정하되, 러시아를 포함한 모든 보장국의 만장일치 동의를 요구했다.
즉 라브로프 장관은 우크라이나가 공격 받을 시 누가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군대를 파견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러시아가 찬반 의사를 밝히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