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경기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놓고 갈등이 가라앉지 않는 가운데 김동연 지사가 나서 “장사시설 설치는 지자체 와 주민간의 폭넓은 소통이 전제돼야 한다”며 “경기도도 관심을 갖고 시·군과 함께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라고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지난 4일 경기도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경기도 양주시 종합장사시설(화장터) 전면 재검토 청원’에 대해 “장사시설 설치 권한은 법령에 따라 시장·군수에게 부여돼 있어 도의 직접 개입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양주시가 사업 후보지에 대해 지역 주민과 충분히 소통하도록 경기도 차원에서 권고하겠다”라고 했다.
현재 경기도 내 화장장은 수원·용인·화성·성남 등 경기 남부 지역에만 4곳이 몰려 있다.
경기 북부 주민들은 강원도나 서울, 경기 남부 지역 화장시설로 ‘원정 장례’를 떠나는 불편함을 감수하는 형편이다. 이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배로 드는 이중고를 겪는 상황이다.
주민들의 불편을 감안한 양주·의정부·남양주·구리·포천·동두천 6개 시는 협의를 통해 양주시에 광역 종합장사시설을 건립하기로 했다.
양주시는 2023년 ‘방성1리’를 후보지로 낙점했지만, 주민들 사이에 찬반 논란이 거세지며 원점으로 돌아갔다.
양주시는 지난 5월 대안부지를 재공모 했으나 신청지 2곳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결국 양주시는 지난달 16일 원안 부지(방성1리)를 다시 후보지로 결정했다.
김 지사는 “양주 지역에는 찬반 여론이 공존하고 있다”면서 “찬성 측 주민들은 ‘원정장례’ 등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장사시설의 조속한 건립을 바라고 있고, 반대 측 주민들은 소통 부족, 정주 여건 훼손 등을 우려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양주시) 옥정·회천 신도시 지역에 많은 인구가 새로 유입되며 정주여건이 변화하고 있는 만큼 지역 주민들과 더욱 폭넓은 소통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장사시설 설치는 시장·군수 권한이지만,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이 지역 간 연대와 협력, 주민과의 상생 속에서 추진될 수 있도록 경기도도 시·군과 함께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라고 했다.
양주의 광역 화장시설이 참고할만한 사례는 화성 함백산추모공원이다. 함백산추모공원도 인접한 서수원 지역의 반대가 만만치 않았다. 행정소송 등을 여러차례 겪었고, 착공한 다음에는 법정 보호종인 ‘맹꽁이’의 서식지가 확인되는 등 우여곡절을 거쳤다.
한 장례업계 전문가는 “양주 광역 화장시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함백산추모공원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면서 “함백산추모공원의 성공사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