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춘석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본회의장에서 타인 명의의 주식 거래를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여야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 위원장을 형사 고발하겠다고 밝혔고, 민주당은 긴급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이 의혹은 5일 한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전날 본회의장에서 이 위원장이 들여다본 휴대전화 화면에 네이버, LG CNS, 카카오페이 등 특정 종목의 주식 거래창이 떠 있었고, 해당 기기가 보좌관 명의라는 점에서 차명 거래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민의힘은 강도 높은 공세에 나섰다.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금융실명법 등 실정법 위반으로 형사고발하고 윤리위 제소도 추진할 것”이라며, “이 위원장은 법사위원장직에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주진우 의원도 “금융실명법·공직자윤리법 위반 혐의로 형사 고발하겠다”며, “차명 거래는 개미 투자자들을 등쳐먹는 중대한 범죄”라고 비판했다. 이어 “차명 주식을 재산 신고에서 누락한 점도 국회의원 자격 상실에 해당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해당 종목들과 정부의 AI 정책 발표 시점이 겹친다는 점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곽규택 수석대변인은 “이 위원장이 전날 오전 거래한 종목들이 그날 오후 AI 국가대표에 선정됐다”며 “이재명 정부의 ‘코스피 5,000시대’가 이 위원장을 위한 것인가”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역시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정부 AI 정책을 좌우하는 인물이 해당 분야 종목을 차명 거래했다면 이는 더 악질적인 행위”라고 주장했다.
비판은 진보진영에서도 나왔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작년 국정감사 때도 비슷한 장면이 포착됐다”며 “보좌관의 휴대전화를 상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이춘석 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사과하면서도 “타인 명의로 주식 계좌를 개설해 거래한 사실은 결코 없다”고 강조했다. “본회의장에서 주식 화면을 연 점에 대해 변명의 여지가 없다”며 유감을 표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해당 휴대전화가 보좌관 것이냐’는 질문에 “맞다”고 인정했으며, 사용 이유에 대해서는 “당의 조사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과거에도 유사 정황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민주당 정청래 신임 대표는 해당 의혹이 보도되자마자 당 윤리감찰단에 긴급 진상조사를 지시했고, 이 위원장도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