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형석 기자】더불어민주당 정청래 신임 당 대표는 5일 제1야당 국민의힘에 대한 정당해산 추진 논란과 관련해 “못할 것이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거듭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유튜브 방송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박근혜 정권 때 내란 예비 음모 혐의로 해산됐던 통합진보당 사례에 비춰보면 국민의힘은 10번, 100번 정당해산 감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내란 특검 수사 결과 윤석열뿐 아니라 국민의힘 구성원들이 핵심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면, 국민들이 가만히 있겠느냐”며 “(국민들이) 빨리 해산시키라고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대표는 과거 자신이 발의한 헌법재판소법 개정안과 관련해 “정부가 직접 제1야당을 상대로 해산 심판 청구에 나서긴 어렵기 때문에, 국회가 의결해 국무회의에 안건을 올릴 수 있도록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내에서 해당 안건이 과하다는 의견이 나올 경우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엔 “제 뜻이 확고하다면 설득할 것”이라며 “법사위원장 때도 많은 사람이 말렸지만 결국 제 생각대로 했고, 결과도 좋았다”고 답했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반대할 경우에는 “그때는 심각하게(고려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제가 개인이 아니므로 당 의원, 대통령실, 행정부와도 조율해 추진할 것”이라면서도, “(내 성격상) 다른 사람 말에 쉽게 설득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 대표는 국민의힘과의 협치 거부 방침도 재확인했다. “불법 계엄 내란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석고대죄가 기본”이라며 “악수도 사람하고 하는 것이다. 그렇지도 못한 사람들을 어떻게 사람이라 할 수 있겠는가”라고 했다.
정 대표는 이날 야당 지도자들과 취임 인사를 나누지만, 국민의힘은 예방 대상에서 제외됐다.
또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국회 징계 추진과 관련해선 윤리특별위원회 구성을 여야 동수가 아닌 민주당 다수(7대6)로 재편할 방침임을 밝혔다. 그는 “(김병기) 원내대표와 본회의에 동수안을 상정하지 않기로 했다”며 “위원장 포함 민주당이 7이 돼야 실제로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광복절 특별사면 가능성이 거론되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선 “침묵이 금”이라며, 지도부는 언급을 자제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조 전 장관을 한 차례 면회한 적은 있지만, 사면 논의는 오히려 대통령 결단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당직 인사에 대해선 “이 대통령이 대표 시절 했던 스타일을 벤치마킹하겠다”며 “과거보다는 성과 중심, 잘하면 유임시키는 방식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