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이재명 정부 첫 여당 대표로 초강경 성향의 정청래 의원이 선출되면서 정치권 대치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 대표는 경선 기간 내내 "내란 세력과 타협·협치·거래는 없다", "내란당을 해체해야 한다"며 국민의힘을 강하게 비판해 왔다. 특히 "싸움은 제가 할 테니 대통령은 일만 하시라"는 발언으로 강경 노선을 분명히 했다.
이번 전당대회에서 경쟁자인 박찬대 후보조차 강경 노선으로 선회할 만큼, 당내 분위기도 강경론이 우세했다. 정청래호 출범으로 이러한 기조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우선 입법 전선에서 민주당은 검찰·언론·사법개혁 법안을 중심으로 국민의힘과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4일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는 방송3법, 노란봉투법, 상법 개정안 등 쟁점 법안이 올라가고, 국민의힘은 필리버스터를 예고한 상태다.
정 대표는 쟁점 법안 처리에 대해 "전광석화처럼 해치우겠다"고 공언해 여야 간 충돌은 불가피하다. 과거 법사위원장 시절 '3대 특검법'을 통과시켰던 경험을 바탕으로, 절대다수 의석을 이용한 입법 드라이브가 예상된다.
또한 정 대표는 검찰청 폐지와 공소청·중대범죄수사청 신설을 골자로 한 '검찰개혁 시즌 2' 법안을 추석 전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국민의힘을 겨냥한 각종 법안도 제출돼 있다. 정 대표는 위헌 정당 해산 청구권을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 가능하도록 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을 냈고, 내란 정당 국고보조금 차단법, 국민의힘 의원 제명 결의안 등도 발의한 상태다.
이 같은 움직임은 강경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정치적 행위로 해석되지만, 민주당이 지원하는 특검 수사와 맞물리며 현실화될 가능성도 있다.
향후 정국의 또 다른 변수는 국민의힘 전당대회 결과다. 당권 주자들이 '찬탄'(탄핵 찬성)과 '반탄'(탄핵 반대) 진영으로 나뉘어 경쟁 중인 가운데, 누가 새 대표가 되느냐에 따라 여야 관계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찬탄 계열 주자가 승리하면 여야 간 강경 대치가 심화될 수 있고, 반대로 쇄신·협치를 내세우는 인물이 대표가 되면 협력의 여지도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다만 정 대표는 국민의힘 전대 주자들에 대해 "나와 맞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권 여당 대표로서 국정 운영의 책임을 지게 된 만큼, 야당과의 관계 설정에 있어 변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 대표는 이에 대해 "대화는 해야 한다"면서도 "무리한 요구나 억지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