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기성 언론들이 확인도 안 하고 보도를 하니 정말 죽겠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을 만나면 흔히 듣는 푸념이다.
상조·장례업계 관계자들은 생존을 위해 사생결단으로 뛴다. 일선의 영업자부터 기업의 대표까지 발로 뛰면서 업계를 일궈나가고 있다.
하지만 난데없이 튀어나온 보도 한번으로 ‘공든 탑’이 와르르 무너지곤 한다.
기성 언론은 상조·장례업계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데다 취재 의지도 부족하다. 관계자들의 코멘트를 들을 생각도 하지 않고, 전후 맥락을 삭제해 보도한다.
일부 부실한 업체와 관련한 보도가 나오면 상조업체에는 해약 전화가 쇄도하고, 장례업계를 욕하는 근거없는 댓글로 인터넷은 도배가 된다.
최근에는 ‘상조 관리를 금융감독원이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조를 티메프 사태와 연결해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작 금감원에서는 인력·예산의 부족을 이유로 손사래를 치고 있지만, 언론에서는 지속적으로 이를 압박하고 있다.
언론 기사에 달린 댓글은 한술 더 뜬다. 모 포털사이트 댓글을 보면 “상조는 모두 사기다” “ㅇㅇ회사도 부도난 적이 있다” 등이 달려 이를 무심코 읽다간 절로 상조·장례업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갖게 된다.
상조·장례업계 관계자들은 속앓이만 하고 있다. 힘이 없으니 맞고 있다는 표현도 서슴치 않는다.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의례 과정에서 상조·장례는 최소 한 번은 접하게 된다. 국민 생활에 필수불가결이라 상조 선수금은 약 10조 원에 달하고 있고(2024년 기준), 장례식장은 전국 1102개(2022년 기준)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결국 업계가 하나로 뭉쳐 목소리를 낼 때 왜곡 보도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한다. 강력한 협회를 구축해 홍보 기능을 극대화하면 왜곡 보도가 줄어들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나마 장례업계가 한국장례협회로 일원화된 것과 달리 상조업계는 한국상조사업자협회와 대한상조사업자협회로 나뉘어 있다. 양자 사업자 단체 통합이 상조 왜곡 보도 예방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