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양국 관계에 청신호가 켜진 모습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방일을 앞두고 양국 셔틀외교 복원이 초읽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지난 15일 이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수위를 조절하며 일본에 유화 제스처를 보냈다. 이 대통령은 “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이자 경제 발전의 주요 동반자”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따.
이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일본 종전 기념일 전물자 추도사에서 “전쟁의 반성과 교훈을 다시 한번 깊이 가슴에 새겨야 한다”고 밝혔다.
일본 총리가 추도사에서 ‘반성’을 언급한 것은 2012년 아베 신조 전 총리 집권 이후 최초이다.
두 정상은 지난 6월 18일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개최지였던 캐나다 캘거리에서 처음 만났다.
이 대통령 당선 후 불과 2주만에 G7 정상회의 초청국 정상 자격으로 캘거리를 방문했으며, 이시바 총리와 조우했다.
두 정상은 30분 정도 회담하면서 서로 배려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 전 먼저 장소에 도착해 주빈국 자리를 이시바 총리에 양보할 정도로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시바 총리는 이 대통령의 호의에 호감을 느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중단된 셔틀외교 복원에도 무게를 싣기로 했다.
오는 23일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앞두고 양측은 한결 부드러운 분위기로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다만 양측 모두 지지층을 향한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점은 부담이다. 전통적 민주당 지지층은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 과도한 유화 제스처에는 거부감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 집권 당시에는 ‘반일운동’으로 전국이 뒤덮이기도 했다.
이시바 총리 또한 자민당 내부 강경파와 일본의 극우 세력을 의식해야 한다.
이에 따라 양측은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하되 어느 정도 선을 지키는 수준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