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을 수행하던 중, 한국 정부 고위 인사들이 직접 찾아와 통상 협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28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이 저녁 식사 후 나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로 비행기를 타고 왔다"고 전했다. 진행자가 ‘한국과의 협상은 진행 중인가? 일본을 부러워하고 있느냐’고 묻자, 그는 이같이 답하면서 “내 말은, 그들이 얼마나 진정으로 협상 타결을 원하는지를 생각해보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이 언급한 ‘한국인들’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으로 알려졌으며, 두 사람은 지난 24~25일 미국 워싱턴DC와 뉴욕에서 러트닉 장관 등과 연쇄 협상을 가진 뒤, 트럼프 대통령의 동선을 따라 스코틀랜드까지 이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트닉 장관은 "방금 스코틀랜드에서 돌아왔다"고도 밝혀,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26일 또는 27일에 그를 만났을 가능성이 크다. 그는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과 EU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간 회담에 배석했으며, 이후 미국으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 정부는 8월 1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앞두고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다시 워싱턴으로 이동해 러트닉 장관과의 최종 조율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운전석에 앉아 있다. 그는 모든 카드를 손에 쥐고 있으며, 관세율과 시장 개방 수준을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8월 1일 전 모든 거래가 성사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모두 준비가 돼 있다”며 “내 역할은 대통령을 위해 테이블을 준비하는 것이고, 대통령이 원하는 방식대로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