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북한이 미국과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또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하라는 요구도 내놓았는데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고 핵군축 협상을 하자는 메시지로 분석된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9일 공개된 담화를 통해 과거 미북정상회담이 열리던 2018~2019년과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는 점을 전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우리 국가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그 능력에 있어서 또한 지정학적 환경도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엄연한 사실에 대한 인정”을 전제로 대화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핵·미사일 능력이 고도화된 데다 ‘지정학적 환경’이 달라졌다는 점을 언급한 건 러시아와의 군사동맹을 체결했다는 사실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전에는 대북제재를 풀기 위해 북한이 불리한 입장이었다면, 현재는 러시아에서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받고 있어 굳이 협상에서 끌려다닐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다.
김 부부장은 “최고법으로 고착된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철저히 배격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라고 했다.
미국이 미북 정상 간 친분을 활용해 비핵화 협상을 시도하려는 태도는 수용하지 못한다는 반응도 보였다.
미국이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고 비핵화 협상을 시도하지 않을 경우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 부부장은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할 것”이라면서 핵 군축 협상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