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더불어민주당 출신 전직 국회의장과 당 원로들이 12일 국회에서 열린 상임고문단 간담회에서 정청래 대표에게 개혁 드라이브 속도와 협치 필요성을 잇따라 주문했다.
간담회에는 김원기·임채정·정세균·문희상·박병석·김진표 전 국회의장, 이해찬 전 대표, 정동영 통일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원로들은 전반적으로 정 대표의 ‘전광석화식 개혁’ 기조에 공감하면서도, 국민 전체를 아우르는 정치와 당정 관계 복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세균 전 의장은 “윤석열 정부 파멸 근저에는 정치 실종이 있었다”며 “집권여당은 당원만을 바라보고 정치를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원이 아닌 국민의 뜻을 수렴하고 받드는 노력도 함께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희상 전 의장은 “내란의 뿌리를 뽑기 위해 전광석화처럼 몰아치겠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도 “과유불급”을 경고했다. 그는 “대통령이 통합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개혁만으로는 새 정치를 만들 수 없다”며 “정치 자체가 붕괴된 흐름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임채정 전 의장은 “정 대표의 내란 근절 발언이 과격하게 들릴 수 있으나 역사적 맥락은 올바르다”며 “다만 과격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이용득 전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말을 인용해 “국민보다 반보 앞서가고, 정치란 국민을 위해 악마와도 손을 잡아야 한다”며 “방향이 맞아도 속도는 국민 눈높이에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해찬 전 대표는 언론·검찰 개혁과 개헌 필요성을 언급하며 “다음 22대 대선부터는 4년 중임제 대통령을 선출할 수 있도록 개헌안을 준비하자”고 제안했다. 김진표 전 의장은 제조업 공동화와 노동정책 개혁을 거론하며 “민주당 정부가 아니면 해결 못 하는 과제”라고 덧붙였다.
정동영 장관은 “북쪽이 ‘적대적 두 국가’를 선언한 상황에서 민주당과 정부가 힘을 합쳐 ‘평화적 두 국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귀한 말씀을 많이 해주셔서 당 운영에 도움이 될 것 같다”며 “3개월에 한 번씩 고문단을 모시겠다”고 밝혔다. 그는 “아직 내란이 끝나지 않았고 정상화까지 길이 멀다. 무너진 민주주의와 경제를 회복하는 데 다시 힘차게 나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