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시간에 걸친 전화통화를 했음에도 휴전에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를 마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즉시 휴전 협상에 들어갈 것”이라고 했지만, 푸틴 대통령은 “미래의 평화 협정에 관한 각서”를 작성할 준비가 됐다고만 강조하고 나섰다.
양측의 초점이 미묘하게 맞지 않다는 점이 공개되면서 여전히 휴전의 가능성을 불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통화 직후 기자들과 만나 “러시아는 향후 평화 조약에 대한 양해각서 작성과 관련해, 예컨대 분쟁 해결의 원칙, 평화협정 서명 시한 등 여러 조건들을 포함한 협의를 우크라이나 측과 계속 진행할 준비가 돼 있다”며 “관련 합의가 도출될 경우 일정 기간 동안의 잠정적 휴전도 포함될 수 있다”라고 했다.
즉각 휴전을 요구한 우크라이나와 유럽과는 다르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차단, 영토 양보 등의 조건이 이뤄져야만 휴전이 가능하다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푸틴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평화 협정과 휴전을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는 얘기만 하면서 어떠한 돌파구도 드러내지 않았다”라고 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트럼프는 모든 협상으로의 진전을 방해하는 핵심 요구사항 일부에 대해 푸틴이 물러섰다는 뜻은 밝히지 않았다”라고 했다.
악시오스는 미국과 러시아의 뜻이 일치하지 않다는 뜻을 시사했다.
악시오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회담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건 미국이 분쟁을 중재해서는 안 된다는 러시아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