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비정부기구(NGO)로 위장한 중국의 관변조직이 대거 유엔에 등록돼 있고, 중국의 인권침해 행위를 비판하는 기구나 단체의 활동을 방해·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와 함께 유엔에서 활동하는 중국 NGO 현황을 분석·조사한 결과, 수십 개 NGO가 사실상 중국 정부에서 조직하거나 지원을 받는 ‘무늬만 NGO’였다.
WP와 ICIJ가 공공기록물 등을 조사해보니 유엔의 인가를 받거나 등록된 중국 본토·홍콩·마카오 등의 NGO는 모두 106개로 이 가운데 약 60개가 중국 공산당이나 정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부 조직 비정부기구(GONGO), 즉 관변단체로 파악됐다.
이런 단체는 ‘중국인권연구회’, ‘중국인권발전재단’, ‘중국 소수민족 대외교류 협회’ 등 이름만 보면 다른 NGO와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재무 기록이나 지도부 인사들은 모두 중국 당국과 연관돼 있다.
이들 50개 이상의 단체는 공산당에 충성을 맹세하는 표현을 헌장에 포함하고 있고 일부는 채용이나 자금조달 관련 결정을 당에 맡기고 있다고 했다.
이들은 유엔인권이사회가 개최하는 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인권침해 보고를 반박하고 당국을 옹호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300차례 유엔인권이사회 회의에 참석하면서도 중국을 비판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이들 단체는 위구르족, 티베트 어린이들의 강제 동화정책, 홍콩 민주화 운동가 탄압 등 중국의 다양한 인권침해 사례를 증언하려는 활동을 방해하고 무산시키는 노력을 기울였다.
WP는 2018년 유엔이 신장 인권상황 보고서를 처음 발표하고 유엔 인가를 받은 중국 NGO 수는 거의 두 배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