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계엄·탄핵 사태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당헌·당규에 명시하자는 혁신안 1호 통과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여전히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위원장은 24일 KBS 라디오에서 “진솔한 사과를 하는 것이 폐족의 길을 막는 한 걸음이라고 생각한다”며 “당장 오늘부터라도 지도부가 (1호안에 대해) 결심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전날 의원총회에서도 그는 최고위원 선출 방식 변경(2호안), 당원소환제 강화(3호안) 등은 유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1호안만큼은 조속한 채택을 촉구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여전히 원론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당내 다수는 법조문 성격의 당헌·당규에 ‘사죄’ 표현을 직접 담는 것엔 부정적이다. 실제로 지도부와 다수 의원들은 “사죄를 당헌·당규에 담는 게 맞는지, 어떤 내용으로 담을지를 깊게 논의해야 한다”며 신중한 검토 입장을 밝혔다.
한 핵심 관계자는 “1호 혁신안을 검토하는 단계”라며, 조정과 숙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내 분위기도 “취지는 살리되 표현은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일부 당권 주자들은 아예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혁신안을 그대로 받으면 국민의힘은 30∼40석 이상은 빠져나간다”고 경고했고, 장동혁 의원은 대표 출마 기자회견에서 “사과하겠다는 명분으로 우리 당을 과거로 되돌리고 내부 싸움터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여기에다 전당대회 국면 진입과 함께 당내 관심이 인사청문 정국과 대여공세로 옮겨가면서, 혁신안 논의는 뒷전으로 밀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의원들 사이에선 “지금은 혁신보다 여당 역할에 집중해야 할 시기”라는 인식이 강하다.
윤 위원장이 1호안이 처리될 때까지 추가 혁신안 논의를 유보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해당 안건이 무산되거나 흐지부지될 경우 혁신위원회 자체가 사실상 활동 종료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