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센터장 권미영)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원장 김인선)과 7월 6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자원봉사와 사회적 경제의 협력 증진을 위한 공동 포럼(‘연대의 힘으로 만드는 변화’)을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사회적 경제와 자원봉사 저변 확산, 시민 참여 활성화를 위한 상호 교류·협력,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자원봉사와 사회적 경제 간 협력 방안 모색 등 시민 사회 영역의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협약식에 이어 상호 간 이해 증진과 협력 방안을 찾기 위해 진행된 공동 포럼에서 ‘영역 간 상호 이해와 협력을 위한 제도적·실천적 방안’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민윤경 박사(성균관대 연구교수)는 양 섹터는 시민에 의해 태동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그간 ‘시장 지향성’에 대한 인식의 간극으로 제한된 협력 관계를 보여왔다고 밝혔다.이어 그는 앞으로 두 영역 간 협력을 통해 사회적 경제의 시민성 확장과 공익을 중심으로 한 자원봉사 영역의 점진적 확장, 사회적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협력적 생산-유통-소비 사슬 형성을 기대할 수 있다며 ‘상호 인식 차이 해소’ 및 ‘공익을 중심으로
경기 이천시가 화장시설 건립을 놓고 인접 지자체인 여주시와 큰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화장시설의 완공 시기가 2년 가량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이천시는 당초 화장시설의 완공 시기를 2022년 12월으로 잡고 있었지만, 규모가 커지면서 더 많은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2024년 12월로 완공 시기를 늦췄다고 밝혔다. 이천시는 현재 도시관리계획시설 결정을 위해 용역을 진행하고 있고 오는 12월에 용역이 완료될 예정이다. 시가 계획했던 화장시설을 대규모 공원형 장사시설로 수정하면서 사업비도 233억 원까지 늘어났다. 예산이 200억 원 이상 소요될 경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투자심사 대상에 해당하기 때문에 사업기간 연장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다. 앞서 이천 주민들은 화장장 부재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용인, 원주 등의 화장장으로 ‘원정 장례’를 떠나야 했다. 시간뿐만 아니라 비용마저 수 배나 들 정도로 불편을 겪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해 시는 시립 화장시설을 공모했다. 지난해 8월 시는 부발읍 수정리를 후보지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공사를 추진하려 했다. 하지만 인접 지자체인 여주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상황이 급반전된다. 수정리 주민들이 여주 주민들의 강한 반대에
본투글로벌센터(센터장 김종갑)는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콜롬비아, 멕시코에서 5개의 한-중남미 스타트업 간 조인트 벤처 파트너십이 탄생했다고 7일 밝혔다.본투글로벌센터는 2020년 9월부터 미주개발은행 IDB랩과 협업을 통해 중남미 우수 스타트업 발굴 및 국내 혁신 기술 기업과 매칭을 돕는 한-중남미 딥테크 교류 프로그램(LAC-Korea Deep Tech Exchange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조인트 벤처형 해외 진출 사업의 하나로 한-중남미 스타트업 온라인 밋업을 통해 매칭된 조인트 벤처 후보 기업이 사업 제안서를 제출, IDB랩에서 승인받으면 조인트 벤처 실증 사업화에 필요한 컨설팅·자금을 지원받는 사업이다.이번에 사업 승인을 받은 5개의 조인트 벤처 파트너십 기업은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콜롬비아, 멕시코 기반 스타트업과 국내 혁신 기술 기업 각 5개사다. 조인트 벤처 파트너십 기업은 미주개발은행 IDB랩에서 각 12만달러(약 1억4000만원)의 자금을 지원받는다.승인된 조인트 벤처 파트너십 기업은 △아반까르고(아르헨티나)-코코넛사일로(한국) △윌더월드(칠레)-닷(한국) △프록시미티(페루)-버넥트(한국) △어드밴스(콜롬비아)-샤플앤컴퍼
코로나19로 세계가 전례 없는 위기를 겪는 가운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 거버넌스의 역할을 강화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더 나은 준비를 위해 세계 각국 학계 및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다.한국지방행정연구원(원장 김일재)은 7일(수) 오후 2시부터 유엔거버넌스센터(원장 심보균)와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상 대응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차원의 공공 거버넌스 강화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주제로 공동 포럼을 개최한다.포럼은 웨비나로 개최되며, 유튜브로 생중계될 예정이다.이날 포럼에는 한국·독일·뉴질랜드·인도네시아·라오스의 전문가를 비롯해 국제기구 UN DESA(유엔 경제사회처)와 월드뱅크에서도 패널로 참석한다. 포럼은 코로나19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에 심각한 저해 요소로 작용하는 현재 상황에서 꾸준한 정부 혁신 노력을 통해 공공 거버넌스 역할을 강화하고, 취약계층을 포함한 시민을 대상으로 적절한 공공 서비스를 보장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시되는 가운데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 함께 고민하고 발전적 대안을 찾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개회식은 심보균 유엔거버넌스센터 원장, 김일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장의 개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지선)는 민주주의 전문 학술지 ‘기억과 전망’ 제44호(2021년 여름호)를 발간했다.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에서는 2002년부터 반기별로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 ‘기억과 전망’은 한국과 세계 민주주의, 민주화운동, 시민사회를 분석하고 진단하는 연구 논문들을 수록해 우리 사회의 희망을 찾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번에 발간된 44호 학술지에는 총 5편의 일반논문이 실렸다. 대학의 기업식 구조조정과 이에 대한 저항 사례 분석, 에너지 커먼즈(공유자원) 개념과 공공 협력, ‘2000년도 여성국제전범’ 법정 사례, 부마민주항쟁과 도시하층민에 대한 분석, ‘고아 수출국’과 해외입양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공공성’과 ‘민주적 거버넌스’에 대한 고민 담은 두 편의 논문첫 번째 논문은 강석남·백승욱의 ‘기업식 대학 구조조정 추진의 균열과 대학 구성원의 저항’이다. 이 논문은 한 대학의 학과제 폐지 구조조정을 학내 구성원의 저항으로 저지한 사례로 민주적 대학 거버넌스 출범 가능성을 살펴봤다. 특히 기업식 대학구조조정 특성을 사립대의 ‘독점적 의사결정 구조’와 ‘대학 컨설팅’이란 개념으로 접근했다.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구조조정이
취업플랫폼 캐치는 취업준비생을 위한 초봉 공개 캠페인을 7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이번 캠페인은 캐치가 추진하는 ‘취업문화 개선 프로젝트’의 하나로 베일에 싸인 기업의 초봉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기획됐다. 캐치는 이번 캠페인으로 취업 문화 개선에 앞장서는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캠페인에 참여하는 기업은 그동안 캠페인에 참여한 기업 수와 캐치 사이트에서 실제로 초봉이 공개되고 있는 기업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참여 기업의 초봉이 규모·업종에 따라 초봉 상위 몇 퍼센트에 속하는지도 볼 수 있으며 취준생의 희망 초봉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인터넷에 올라온 사실과 다르게 공개된 초봉 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캐치가 4월 조사한 설문에 따르면 취준생은 구직과정에서 ‘초봉’ 정보를 가장 궁금해하지만 반면 채용공고에 초봉 정보를 제시하지 않는 기업은 96%로 나타났다.김정현 캐치 소장은 “캐치는 취업 정보 플랫폼을 넘어 올바른 취업 문화를 제안하는 신개념 채용 브랜드가 되고자 한다”며 “이번 초봉 공개 캠페인을 통해 취업 시장에 새로운 메시지를 던짐과 동시에 앞으로도 더 나은 취업 문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사무처(사무총장 최종현)는 6월 30일 국제의회연구센터(ICPS, International Centre for Parliamentary Studies)와 공동으로 ‘선거 절차에 새로운 시스템 도입 방안(How to Incorporate New Systems into Our Electoral Processes)’을 주제로 웨비나(webinar)를 개최했다.이번 웨비나는 올 3월 개최된 A-WEB 제9차 집행이사회에서 여러 회원 기관이 제의해 마련됐으며, 전 세계 56개국 선거 관리 기관 및 △자유로운 선거를 위한 아시아 네트워크(ANFREL) △국제선거제도재단(IFES) △국제의회인회의(IPC) △유럽안보협력기구/민주제도인권사무소(OSCE/OHIDR) △유엔개발계획(UNDP) 등 국제기구와 선거 관련 NGO가 참여했다.세계선거기관협의회 최종현 사무총장은 개회사에서 “COVID-19 사태 이후 선거 과정에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유권자들의 안전 투표라는 면도 갖게 됐으며, 이번 세미나가 여러 도전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데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웨비나는 2개 회의로 나뉘어 △인도 선거위원회 △우즈베키스탄 중앙선거위원회 △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혁신을 위해 ‘2021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국민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공모전은 국민의 관점에서 경영 혁신 과제를 발굴하고, 국민의 아이디어를 공공기관 운영에 반영해 기관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것으로 진흥원 추진사업에 관심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공모 분야는 진흥원과 관련된 3개 혁신분야로 △사회적 가치·ESG 실현 △한국형 뉴딜 선도 및 기업 경제 활력 제고 △적극 행정 및 국민신뢰 제고이며, 관련된 아이디어와 의견을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다.심사 항목은 혁신성, 실현 가능성, 사회기여도, 지속가능성 총 4가지 항목이며 전문가 평가위원회 검토를 거쳐 우수 아이디어를 선정할 예정이다.7월 5일(월)부터 7월 23일(금)까지 담당자 이메일로 접수 가능하며, 더 자세한 사항은 진흥원 홈페이지 ‘알림마당-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진흥원 권순만 원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진흥원은 기관 경영과 사업에 국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혁신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며, 공공혁신의 선도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