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형석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외교·안보적 의미가 큰 광복절을 맞는다. 1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광복절 오전 경축식과 저녁 국민임명식에서 발표할 경축사와 감사 인사를 최종 조율 중이다.
역대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한일관계와 남북관계에 대한 기조를 보여주는 지표였던 만큼, 이번 메시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이라 일본을 향해 과도하게 강경한 입장보다는, 과거사에 원칙적으로 대응하되 경제·안보 협력을 병행하는 ‘투트랙’ 접근이 전망된다. 한미일 공조 강화 역시 주요 내용으로 거론된다.
북한과 관련해선 대화와 협력을 통한 긴장 완화 의지를 재확인할 가능성이 크다. 이 대통령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대북 확성기 철거를 언급하며 “이런 상호적 조치를 통해 남북 간의 대화와 소통이 조금씩 열려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확성기들을 철거한 적이 없으며 철거할 의향도 없다”고 밝힌 만큼, 메시지 톤 조정 여부를 놓고 막판까지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임명식은 이재명 정부의 본격 출범을 알리는 자리다. 국정기획위원회의 5개년 계획 발표와 장관급 인선이 마무리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지켜낸 국민에 대한 감사와 함께 국민주권 정부의 원칙, 경제 구조 혁신과 균형 성장을 통한 ‘모두가 잘 사는 나라’ 구상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조국 전 대표 사면·복권 문제로 야권 반발과 국론 분열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국민 통합 메시지도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일부 야권 인사들은 불참을 예고했으며,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불법 계엄과 내란을 극복하고 국민주권 정부가 탄생하는 것을 국민 스스로 축하하고 대통령을 임명하는 자리인 만큼 축제에 함께하는 것이 더 의의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