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 당대표를 선출하는 8·22 전당대회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반에 따른 대립구도는 더 강해지고 있다.
사상 초유의 ‘전직 대통령 부부 동시구속’은 반탄(탄핵 반대)과 찬탄(탄핵 찬성) 간 노선 차이를 더 심화시키고 있다.
반탄인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정치 보복”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지만, 찬탄인 안철수·조경태 후보는 “사필귀정”이라면서 윤 전 대통령과의 선 긋기를 강조했다.
찬탄파인 안·조 후보는 한 목소리로 계엄을 비판했고 최근 전당대회 합동연설회 현장에서 난동을 부린 전한길 씨에 대해서도 제명을 주장한 바 있다.
이에 양 후보의 단일화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안 후보가 단일화를 거부하면서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와 조 후보는 ‘윤 어게인’ 세력과의 절연을 주장한다. 부정선거론으로 당을 흔들고 있는 전 씨 등을 솎아내야 한다는 의견도 동일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인적 쇄신 방식과 강도는 다르다.
안 후보는 ‘대선백서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대선 패배의 요인을 분석하자는 입장이다. 외부인으로 구성된 TF로 책임 소재를 가리고 쇄신 대상을 구체화하자고 했다.
반면 조 후보는 ‘45+α’를 통해 쇄신 대상을 명확히 했다. 올해 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 전 대통령 체포에 나선 당시 한남동 관저를 찾은 당 의원 45명을 겨냥한 것이다.
조 후보가 45명을 못박자 당 내부에서는 강한 반발이 일기도 했다. 단순히 절차적 적법성의 문제 제기를 위해 관저로 향했는데 ‘윤 어게인’ 세력으로 매도되는 데 대한 반발을 하는 의원들도 적잖은 상황이다.
안 후보와 조 후보의 입장이 엇갈리면서 전대를 앞두고 단일화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