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건희 여사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첫 소환 조사에 불응하면서 조사가 무산됐다.
윤 전 대통령은 29일 오전 10시 예정된 특검 출석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특검은 지난 21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피의자로 윤 전 대통령에게 출석을 통보했지만, 변호인 선임계를 포함한 어떠한 입장도 내지 않은 상태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특검팀의 출정 조사와 내란 재판에도 건강 악화를 이유로 불출석해 왔다. 특검팀은 출석 요구를 다시 한 뒤에도 불응이 이어질 경우 강제 구인 등 강제수사 절차를 검토할 방침이다.
이번 특검의 출석요구서에는 두 가지 혐의가 담겼다. 우선 ‘명태균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2022년 대선 당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고, 그 대가로 김영선 전 의원을 보궐선거에 공천하도록 개입했다는 혐의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이 명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 상현이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하는 내용의 녹취록도 공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특검은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상현 의원과 당시 당 대표였던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의 주거지 및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고, 윤 의원은 27일 특검에 출석해 “김 전 의원 공천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2021년 10월 국민의힘 대선 경선 토론회에서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에 대해 "한 넉 달 정도 (위탁관리를) 맡겼는데 손실이 났다"고 발언한 것을 문제 삼고,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도 조사하려 했다.
윤 전 대통령이 특검 출석을 거듭 거부할 경우, 특검은 강제수사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