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의 ‘1회용품 함께 줄이기 계획’에 포함된 장례식장 일회용품 금지 로드맵이 비현실적이라는 장례업계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장례업계 관계자들과 공청회나 간담회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된 로드맵이, 석달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수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22일 '1회용품 함께 줄이기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세척시설을 갖춘 장례식장에서는 2021년부터 세척이 비교적 용이한 컵이나 수저 등 식기류부터 사용을 금지한다.
또한 접시나 용기 등으로 단계적으로 금지 품목을 확대하고, 2024년부터는 장례식장에서 1회용품을 퇴출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올해부터 자발적 협약을 통해 ‘1회용품 없는 장례식장’ 우수 모델을 마련하고, 특히 지자체 공공시설부터 우선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환경부의 로드맵에 대해 장례업계에서는 “현장의 상황을 전혀 모르는 탁상공론(卓上空論)식 계획”이라는 반발이 커지고 있다.
환경부는 세척시설이 있는 장례식장에서 컵이나 수저 등 식기류 사용을 금지하겠다면서도, 세척시설이 없는 장례식장은 금지 조항을 적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장례사업자들은 “그럼 우리도 세척시설을 없애면 금지 조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냐”고 반문하고 있다.
환경부가 1회용품 사용금지에 솔선수범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환경부 직원이나 기타 정부부처 직원들이 상(喪)을 당할 경우, 환경부에서 일회용 장례용품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례 사업자들은 “환경부부터 솔선수범해서 1회용품 줄이기에 나서야 할 상황인데, 정작 환경부도 1회용품을 쓰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례업계 관계자들은 “현장에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 한번 해보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책을 발표한 것이 문제”라면서 “환경부에 간담회라도 하자고 요구했지만 ‘변경사항이 없다’는 대답 뿐이다”라며 답답해했다.
한 장례업계 전문가는 “환경부가 ‘1회용품 금지’을 말하기 전에 업계 현황이나 시설 체크 등을 진행해야 한다”면서 “현재 ‘1회용품 금지’ 로드맵은 그저 보여주기식 탁상공론”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