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장에서 흔히 상주들이 삼베 완장을 팔에 차고 있는 경우를 본다.
상주들은 장례지도사들이 삼베 완장을 권하면 의심의 여지 없이 완장을 찬다. ‘이게 전통 장례문화가 맞는걸까’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간혹 있지만, 사람들이 완장을 보고 상주를 구분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차게 된다.
하지만 장례전문가들은 삼베 완장은 일제가 만들어낸 역사라고 지적한다. 유족 완장은 일제 강점기의 <의례준칙>에 따른 것으로, 상주와 문상객을 구분해 조선인들의 집회를 경계하고 독립운동가 등을 걸러내기 위한 의도였다는 분석이 많다.
이 같은 지적을 의식한 듯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장례식 때는 상주인 차남 김현철 씨가 완장을 차지 않았다. 김 씨는 나비 모양의 상장(喪章)을 차면서 고인인 김 전 대통령을 추모했다.

김 전 대통령의 장례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민간에서는 삼베 완장이 널리 쓰이고 있다. 장례문화 의식 개선 운동을 벌이지 않는 이상 삼베 완장의 쓰임을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영정 근처에 놓이는 국화도 일제 잔재라는 지적도 있다.
장례식이 있으면 국화 한 송이를 헌화하는 장례 관습이 우리 사회에 널리 퍼져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가을부터 초봄까지 국화 생화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생화를 쓰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이에 국화가 일본 황실을 상징하기 때문에 일제 강점기의 악습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국화 헌화 자체가 이미 엄숙한 의식의 하나로 정착했기 때문에 이를 순식간에 타파하기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국은 압축적인 경제성장으로 인해 ‘문화지체현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물질 문명에 비해 정신 문명이 상대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경제 성장이 완숙기에 들어가면서 이제 사회에 ‘장례문화를 되짚어보자’는 의식이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
상조·장례업계에서 일제 잔재 등 악습을 타파해야 민간의 장례의식도 꾸준히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