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란희 기자】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그간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이 8조 511억 원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손명수 의원이 HUG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전체 대위변제액이 8조 5199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회수금은 1조 9271억 원으로 전체 23% 수준이고, 6조 5848억 원은 미회수 상태였다. 올 한 해(1~8월) 대위변제액은 2조 7398억 원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2조 48억 원) 대비 26% 증가했지만 회수율은 8%에 그쳤다.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은 이 서비스에 가입한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면 HUG는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지급하고 집주인에게 구상권을 청구해 이를 회수하는 제도이다. 2015년 1억 원이었던 대위변제액은 ▲2016년 26억 원 ▲2017년 34억 원 ▲2018년 583억 원 ▲2019년 2837억 원 ▲2020년 4415억 원 ▲2021년 5041억 원 ▲2022년 9241억 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3배 이상 늘어난 3조 5544억 원이었다. 올해 대위변제액은 8월 현재 2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전문 장례식장 브랜드 쉴낙원의 14번째 지점을 오픈하며 부산에도 지역사회 동행과 차별화된 선진 장례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리드라이프(대표이사 김만기)가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소재한 전문 장례식장 브랜드 쉴낙원 신규 지점 ‘빌리브 세웅병원 쉴낙원 장례식장’을 공식 개장하고 운영을 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빌리브 세웅병원 쉴낙원 장례식장은 부산 동래구 충렬대로 455 지하 2층에 연면적(277평/920㎡)의 규모로 조성됐다. 최대 132명을 수용할 수 있는 70평(233㎡) 규모의 VIP 1호실 등 5개 빈소가 마련됐으며, 빈소 내 조문실과 상주실, 접객실은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해 고객의 편의를 높였다. 접객을 위한 식음서비스는 F&B 전문기업 푸디스트(Foodist)가 위탁 운영을 맡아 서비스 품질과 안정성을 제고했다. 국내 최초의 전문 장례식장 브랜드인 쉴낙원은 2018년 프리드라이프가 고객 혜택 제고를 위해 선보인 프리미엄 장례식장으로, 현대적인 디자인과 최신식 장례시설을 바탕으로 고품격 장례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2018년 경기도 김포시에 ‘쉴낙원 김포장례식장’을 최초로 선보인 프리드라이프는 2024년 9월 현재
【STV 박란희 기자】묵은 더위가 가고 청명한 날씨가 왔지만 낮에는 여전히 덥다. 낮 기온은 최고 28도까지 오르면서 일교차가 10도 이상 벌어진다. 가을과 여름이 동시에 느껴지는 날씨는 다음 달 초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기상청은 23일 아침 최저 기온을 11~21도, 낮 최고 기온을 22~28도로 예보했다. 서울은 아침 최저 16도, 낮 최고 27도로 내다봤다. 가상청 관계자는 “아침 기온은 전날보다 2~5도 낮아지면서 쌀쌀하겠다”면서 “낮에는 기온 25도 이상 올라 낮과 밤의 기온 차가 크겠다”라고 했다. 올해 본격적인 가을 날씨는 다음 달 중순 전후 시작될 예정이다. 기상학적으로 가을은 일평균 기온이 20도 미만으로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로 보고 있다. 서울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0년간 평균 9월 29일에 기상학적 가을에 접어든 것으로 보고됐다. 일교 차가 커지면 컨디션 조절이나 감기 예방에 신경써야 한다. 손을 자주 씻고, 마스크를 쓰면 감기 예방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일교차와 감기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일교차가 커지면 인체의 저항력과 면역성이 떨어져 각종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
【STV 박란희 기자】불후의 명작인 영화 터미네이터와 아바타 등 SF명작을 연출한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AI(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강한 우려를 보였다. 제임스 카메론은 최근 빌 게이츠가 글로벌 문제를 탐구하는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왓츠 넥스트:빌 게이츠의 미래 탐구’에 출연해 “공상 과학을 만드는 게 점점 어렵다”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제가 작품을 구상하면 최소 3년 후에야 영화화 된다”면서 “세상이 급변하는 데 3년 후에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겠느냐”라고 했다. 빌 게이츠는 “개선되는 속도와 무한한 능력이라는 속성 때문에 독특한 기회와 동시에 도전 과제도 생긴다”라고 했다. 이에 제임스 카메론은 “어느 순간이 되면 점점 더 기계를 믿게 돼서 인간을 배제할 수 있다”면서 “그러면 문제가 된다”라고 지적했다. 제임스 카메론은 자신의 가정사도 공개했다. 그는 “양친 중 한 분이 치매를 앓았다"며 "모든 과정을 지켜보며 지금 (AI에 대한) 불안감이 치매 초기에 느끼는 감정과 비슷한 거 같다. 통제를 포기하는 것 말이다”라고 했다. 이어 “그러니 어떻게 되겠나. 화가 나고 두렵고 불안해진다”면서 “더 나아지지 않을 걸 아니까 우울증도 오면서 점점
【STV 신위철 기자】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의 행보를 두고 여권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야당의 집중공세 타깃이 된 상황에서 공개 행보를 통해 비판을 부채질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당 내에서도 김 여사가 공개 행보를 자제하고 대통령실의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지난 19일 SBS라디오에 출연해 ‘김 여사가 대통령 지지율 하락에 원인을 제공한다는 평가가 있다’는 진행자 질문에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당원들도 만나면 ‘여사 좀 다니시지 말라’고 얘기하더라”고 전했다. 김 여사가 추석 연휴를 전후해 공개 행보에 나서자 여당 지도부에서 공개적으로 비판을 제기한 것이다. 김 여사는 지난 10일 ‘세계 자살 예방의 날’에 발맞춰 경찰의 마포대교 도보 순찰에 동행해 지시를 내렸으며, 지난 15일에는 장애아동 거주시설을 방문했다. 해당 행보는 대통령실을 통해 사진이 공개됐다. 야당에서는 “VIP놀음”(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의 비판이 제기됐다. 김 여사의 총선 공천 개입 의혹도 제기되며 김 여사를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졌다. 이날 한 언론은 김 여사가 2022년 6월 국회의원 재보선 당시 김영선 전
【STV 박란희 기자】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조치가 하루 늦게 주식시장을 견인했다. 전날 Fed의 빅컷(금리 0.5%포인트 인하) 이후 낙관론이 강해지면서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 등 대형 기술주의 랠리가 이어졌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26% 상승한 4만2025.19에 거래를 마쳐 사상 최초로 4만2000선을 돌파했다. S&P500지수는 1.70% 오른 5713.64로 마감해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또 한 번 경신했다. 나스닥 지수는 2.51% 급등한 1만8013.98으로 마쳤다. 전날 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렸다. 시장 예상은 0.25% 인하였으나 하락 폭이 더 컸다. 미국증시는 빅컷 첫날은 반응하지 않다가 하루만에 극적 상승세를 탔다. 엔비디아(3.97%), 테슬라(7.36%), 메타(3.93%) 등빅테크 기업이 19일 일제히 상승하며 지수가 극적으로 상승했다. 시장에서는 주가 상승세가 계속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빅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현물을 다루는 기업들마저 주가 상승세를 탄다면 당분간 주가 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
【STV 박란희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마침내 금리를 큰 폭으로 인하했다. 시장은 연준이 커지는 경기 침체 우려에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서 22년 만에 최고 금리 시대가 종말을 고했다. 더불어 연준은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각국의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 금리를 50bp(1bp=0.01%)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미국 기준금리는 연 5.25~5.50%에서 4.75~5.00%로 하락한다. 연준의 금리 인하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대응을 위해 급격히 금리를 인하했던 2020년 3월 이후 4년 반 만의 일이다. 이날 FOMC 이전 전문가들은 베이비컷(25bp)를 예상했으나 연준은 시장의 기대(50bp 인하)에 부응했다. FOMC는 이날 성명에서 “위원회는 인물가가 2%를 향해 지속 가능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더 큰 확신을 갖게 됐다”면서 금리 인하에 대해 긍정 평가했다. 게다가 연준은 함께 발표한 정도표에서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종전 5.1%에서 4.4%로 낮췄다. 이는 연내 추가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임을 시
【STV 박란희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17~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CM)를 열고 금리를 결정한다. 연준이 9월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하는 건 확실시되는 분위기이며, 시장은 금리 인하 폭이 얼마나 될지에 관심이 쏠렸다. 2020년 이후 처음 금리를 인하하려는 연준이 0.25%포인트(p)를 인하해 스몰컷을 할지, 0.5%p를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할지가 큰 관심사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연설을 통해 “금리 이동 방향은 명확하다”면서 모든 옵션을 열어놨다. 데이터만을 고려할 때는 연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미국 노동부는 11일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해 동기 대비 2.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8월 주거비는 전월 대비 0.5% 증가했으며, 교통서비스 물가도 전월 대비 0.9% 상승했다. 인플레이션도 지속 중이라 연준이 9월에 금리를 0.25%p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주를 이뤘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2일 “연준은 일반적으로 0.25%포인트 단위로 움직이는 것을 선호한다”라고 했다. 전현직 관리들은 “스몰컷은 금리 인하를 시작하는 게 경게가 근본적으로 괜찮다는 전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