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국민의힘이 극우 및 윤석열 전 대통령 측과 선을 긋지 못하고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난해 비상계엄 이후 탄핵과 대선 패배를 경험했지만 여전히 윤 전 대통령과 거리 설정을 하지 못하고 역사강사 출신 전한길 씨 입당 논란으로 내홍만 심화되고 있다.
지지율은 역대 최저 수준에 근접했고, 특검 수사가 진행되면서 위기감만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27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서울시당 윤리위원회는 지난 25일 전 씨에 대한 징계 여부 논의를 위해 첫 회의를 열고 윤리위원 일부를 전 씨 전담 윤리관으로 지명해 조사하기로 했다.
전 씨는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징계하는 건 상식에 어긋나는 일”이라면서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전 씨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계엄 정당화 및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여론 결집, 장외 집회를 주도하면서 ‘아스팔트 극우’의 상징적 인물로 급부상했다.
지난달 8일에는 전유관이라는 실명으로 국민의힘에 온라인 입당 신청을 하기도 했다.
전 씨는 “(나의) 10만 추종자가 입당했다”면서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사람을 대표로 만들겠다며 전당대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겠다고 주장했다.
당내 쇄신파인 조경태·안철수 의원은 전 씨에 대한 징계와 즉각 출당을 요구하고 있다. 조 의원은 지난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제가 당 대표가 되면 (전씨와 같은) 그런 세력은 반드시 솎아낼 것”이라고 했다.
안 의원도 “국민의힘은 '친길계'(친전한길계) 극단 세력에 점령당해 계엄 옹호당이란 주홍글씨를 영원히 안고 침몰하는 길과 불법 비상계엄 세력과 진정한 단절을 이루고 과감한 혁신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받고 유능한 보수정당으로 회복하는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라며 전 씨를 성토했다.
그러나 당권 주자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장동혁 의원은 다양성을 명분으로 전 씨를 비호하는 모습을 보여 당분간 내홍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