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영돈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8월 1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부과가 임박한 상황에서 유럽연합(EU)이 미국과 무역협상을 합의했다.
당초 30%로 예고된 EU의 관세는 15%로 결정됐다.
일본에 이어 EU까지 미국과 무역협상을 마치면서 이번주 협상에 나서는 한국의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회동하고 EU의 상호관세를 15%로 부과하는 무역 협상을 합의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미국으로 수출되는 유럽산 제품에 적용되는 15% 관세율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을 포함해 대부분 적용된다고 밝혔다.
EU는 7500억 달러(약 1038조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및 막대한 규모의 미국산 군사 장비를 구매하고 6000억 달러(약 830조원)를 추가로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일본도 당초 25%였던 관세를 15%로 낮추면서 자동차와 트럭, 쌀 등 일부 농산물 시장을 미국에 개방하기로 했다.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60조원) 규모의 투자와 함께 미국 보잉 항공기 100대 구입,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관 건설 프로젝트인 미일 조인트 벤처 설립 등에도 뜻을 모았다.
일본과 EU가 차례로 미국과 무역협상을 마치면서 한국, 캐나다, 멕시코, 인도 등 주요 교역국이 압박을 받게 됐다.
특히 미국 시장을 놓고 일본, EU와 경쟁 중인 한국으로서는 압박이 더 커지고 있다. 한국이 다음달 1일 이전 미국과 무역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합의를 하더라도 관세율 등 불합리한 조건에 합의하면 무역환경이 크게 악화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