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란희 기자】강윤진 국가보훈부 차관은 17일 최근 일부 국립묘지에서 국가유공자 유골함에 침수나 습기 문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종합 대책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강 차관은 이날 국방부 기자실에서 “어제부터 비가 많이 와서 12개 현충원·호국원과 다 같이 회의했다. 어제오늘 큰 피해는 없는 거로 보고 받았다”며 “유공자들을 잘 예우하고 유족들도 걱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임실·영천호국원에서 유골 이장 중 침수 흔적이 발견됐고, 5·18묘역에서도 유사 사례가 보고됐다. 이에 따라 보훈부는 배수체계뿐 아니라 유골함의 밀봉 구조와 강수량 계측 시스템 전반을 재점검하겠다는 입장이다.
강 차관은 “호우 시 묘지에 물이 차는 것은 배수시설로 해결이 되지만 유골함이 침수되는 것은 강수량 계측과 밀봉 방식 개선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에는 침수와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진공 밀폐 방식의 유골함 제품이 다수 개발돼 보급되고 있으며, 보훈부도 이와 같은 기술적 대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2021년 집중호우 당시 대전현충원에서는 일부 유골함이 침수돼 유골이 훼손되거나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후 2022년부터는 안장 유골에 삼중 밀봉 방식을 적용하고 있지만, 그 이전 안장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침수 위험이 존재한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다.
한편, 강 차관은 보훈부가 지난해 윤석열 정부 시절 ‘민주유공자 예우법’에 대해 대통령 거부권 행사를 건의했던 것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을 고민해서 다음 주 (정무위) 법안소위 때 답변드리려 한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해당 법안의 심사 기준이 모호해 사회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제기한 바 있으며, 강 차관의 이날 발언은 새 정부 기조와 국민 정서를 반영해 입장을 재검토하겠다는 의지를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