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미국 경제가 3년 만에 역성장을 기록한 가운데 관세발 경기 침체 우려가 낮아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 전쟁’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물가와 고용 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엄포를 수 차례 연기하며 시장에 낙관적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3~8일까지 월가 투자은행과 대학, 컨설팅 업체에서 일하는 69명의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의 평균값은 33%였다.
직전 조사인 4월 집계치(45%)보다 하락한 것이다.
또한 경제학자들은 올해 미국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전기 대비 기준 1%로 관망했다.
이 또한 4월 전망치(0.8%)보다 나아졌다.
낙관적 전망이 나오는 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호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이 가장 염려한 관세발 물가 상승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지난해 동기 대비 3%를 기록했다.
이후 관세 위협이 지속됐지만 지난 5월 CPI 상승률은 2.4%로 하락하기도 했다.
물가가 상승하지 않으면서 고용 상황도 좋아졌다. 미국 6월 실업률은 4.1%로 전월(4.2%)보다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