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경찰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내란 음모 혐의로 본격 수사 중인 가운데, 이들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에 이어 고강도 소환 조사까지 벌이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부 인사에 대해서는 신병 확보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등 사안이 급물살을 타는 양상이다.
경찰 특별수사단은 이들 3인을 이달 중순 출국금지 조치했으며, 지난해 말부터 이미 출국이 금지된 이 전 장관의 경우에는 해당 조치가 연장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경찰은 전날 이들을 상대로 10시간에 달하는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다.
수사는 이들이 비상계엄과 관련한 문건을 언제, 어떻게 인지하고 전달받았는지, 그 과정의 진술과 확보한 증거 사이의 신빙성 검증에 집중되고 있다. 특히 경찰은 대통령경호처로부터 임의제출 받은 국무회의장 CCTV 영상 등을 분석하며 이들의 진술과 대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덕수 전 총리는 조사에서 “비상계엄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으며, 계엄 선포 직전까지 윤석열 전 대통령을 강하게 만류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그는 지난 2월 국회 청문회에서도 “계엄 해제 국무회의 직후 양복 주머니에서 관련 문서를 발견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최 전 부총리와 이 전 장관 역시 “자료를 제대로 보지 않았다”, “멀리서 종이쪽지 형태의 문서를 봤다” 등 취지로 진술했으나, 경찰은 이들 진술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최 전 부총리의 “덮어놓자고 해서 보지 않았다”는 발언, 이 전 장관의 “소방청 단전·단수 내용만 봤다”는 진술 등에 대해 사실 관계를 면밀히 따져보고 있다.
이와 함께 경찰은 대통령경호처 수뇌부인 박종준 전 처장, 김성훈 차장, 이광우 본부장에 대해서도 출국금지 조치를 이달 연장했으며, 이들이 '윤 전 대통령 체포 저지를 시도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로 수사를 받고 있다.
또한 경찰은 경호처에서 임의제출 받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일부 자료가 원격 삭제된 정황을 포착했다. 삭제 지시자를 특정하진 못했으나, 윤 전 대통령 또는 김성훈 차장이 관련됐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까지 확보된 진술과 물증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며, 추가 소환 여부와 신병 확보 방안을 포함해 수사 방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