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경제팀】= 국내 외환보유액이 5개월 연속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다시 경신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7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3837억6000만달러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전달 대비 31억9000만달러 증가한 것이다. 외환보유액은 지난 2월 소폭 감소했다가 3월부터 5개월 연속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이와 관련,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늘어난 데다 미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증가한 데 주로 기인한다"고 밝혔다. 국내 외환보유액은 2013년 말 3464억6000만달러, 2014년 말 3635억9000만달러, 2015년 말 3679억6000만달러, 2016년 말 3711억달러, 2017년 7월 말 3837억6000만달러 등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 들어선 126억5000만달러 증가한 것이다. 외환보유액을 세분화해서 보면 유가증권이 가장 많은 3545억5000만달러로 전체의 92.4%를 차지했다. 이어 예치금 193억8000만달러(5.1%), 금 47억9000만달러(1.2%), SDR 32억9000만달러(0.9%), IMF포지션 17억3000만달러(0.5%) 등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stv 경제팀】= 한국항공우주(047810)는 3일 검찰의 분식회계 정황 포착 보도와 관련해 "현재 회계인식 등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정밀감리가 진행 중"이라고 공시했다. 이어 한국항공우주는 "추후 금감원의 감리결과가 구체적으로 확정되는 시점 또는 3개월 이내에 재공시하겠다"고 덧붙였다. webmaster@stv.or.kr www.stv.or.kr
【stv 경제팀】= 올 상반기 경상수지가 362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6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는 362억7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 흑자(499억8000만 달러)에 비해 27.4% 감소한 것이다. 한국은행이 목표로 한 상반기 경상수지 흑자 규모 370억 달러에는 소폭 미달한 것이다. 한은은 상반기 370억 달러, 하반기 380억 달러로 연간 750억 달러 경상수지 흑자를 전망한 상태다. 상품수지는 583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상반기 기준으로 역대 두번째로 많은 규모다. 2016년 상반기에 624억9000만 달러로 가장 많았다. 수출이 2819억2000만 달러, 수입이 2235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4.3% 증가한 것이고, 수입은 21.5% 증가한 것이다. 서비스수지는 157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적자다. 운송수지와 여행수지 악화에 기인한다. 여행수지는 상반기 누적 77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해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반기 기준으로는
【stv 정치팀】=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59)이 2일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가 발표한 혁신선언문에 '서민중심경제를 지향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에 반발해 혁신위원에서 사퇴했다. 유 위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자유한국당 혁신위원을 사퇴하며'라는 입장문을 보내 "저는 오늘 오전 8시반 자유한국당 혁신위원에서 사퇴했습니다. 제가 평생 지켜온 가치(자유민주주의·시장경제·법치)가 존중되지 않는 혁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자유한국당이 서민중심경제를 지향한다는 것은 헌법적 가치 중 하나인 시장경제에 반하는 것으로 용납할 수 없습니다"라고 사퇴 이유를 분명히 했다. 유 위원은 "혁신선언문 최종문안을 위원장에게 일임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를 수용하지 않는 것은 분명 제 잘못"이라면서도 "그러나 헌법과 자유한국당 강령·당헌의 기본적 가치가 부정되는 것은 용납할 수 없습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류 위원장님을 중심으로 혁신을 잘 마무리하여 자유한국당이 국민적 지지를 회복하고 대한민국을 선진 강국에 진입하도록 언론에서 많이 격려, 지원해주길 바랍니다"라며 "저는 자유민주연구원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의 헌법적 가치를 구현하는데 진력하겠습니다
【stv 정치팀】= 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개헌특위)는 2일 개헌 현안을 청취하는 '국민대토론회'에 배포할 예정인 자료에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문구를 넣을지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개헌특위 제2소위원회는 이날 오후 의원회관에서 정부 형태 총론을 논의하기 위해 모였다. 다만 2소위는 정부 형태를 전체적으로 다루기보다는 국민대토론회 자료에 실릴 설문 문구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 자료에는 정부 형태와 관련한 쟁점사항을 설문 형식으로 묻는 3가지 안이 제시됐다. 그중 2가지 안에 "현행 헌법은 대통령에게 권력을 과도하게 집중시키고 있어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는 전제가 나온다. 야당은 현행 대통령제에 문제가 있다는 것에는 이미 상당한 공감대가 형성된 바 있다며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문구가 실리는 것에 찬성했지만 여당은 객관적이지 못하며 특정 답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했다.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질문부터 '제왕적 대통령제'라고 나가면 누가 대통령제를 찬성하겠는가"라 물으며 "주관적인 표현이며 민심과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은 "5년 단임제하에서 대통령이 책임정치를 구현할 수 없다는 점으로 4년 중임제 얘기가 나
【stv 정치팀】= 계급상 정점인 군 지휘부에서 일선 간부들까지 소위 '군기가 빠졌다'고 볼 수밖에 없는 각종 사건이 연이어 터지고 있다. 송영무 국방부장관이 취임하고 국방개혁을 다짐하며 출발했지만 이전보다 더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먼저 송 장관의 오락가락 처신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송 장관은 사드 배치와 관련해 "환경평가 결과 다른 위치가 더 낫다면 바꿀 수도 있다"고 말했다가 논란이 일자, "성주기지 내에서 바꿀 수 있다는 뜻"이라고 말을 바꿨다. 송 장관은 또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가 검출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다고 했다. 사드 배치와 관련해 무엇보다 중요한 환경 문제를 아직도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다는 데에서 아연실색할 따름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에는 군 사령부의 갑질 행태가 잇달아 논란이 되고 있다. 자신의 부인이 공관병에게 갑질을 일삼았다는 의혹에 휩싸인 박찬주 육군 대장이 1일 전역지원서를 제출했다. 박 대장은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저는 지난 40년간 몸담아 왔던 군에 누를 끼치고 군의 명예를 훼손하였다는 자책감을 더 이상 견딜 수 없어 오늘 전역지원서를 제출했다. 모든 책임은 저에게 있다"
【stv 정치팀】=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2일 자신의 전당대회 등판론을 두고 초재선 현역 의원 그룹과 회동, 2시간여에 걸쳐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참석자들 사이에서는 갑론을박이 벌어졌으나 안 전 대표는 이미 출마 쪽으로 기울어진 것 같다는 게 회동에 참석한 복수 의원들의 전언이다. 이날 회동에 참석한 초선 의원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안 전 대표가 (찬반) 양쪽으로부터 똑같이 이야기를 듣고 있다"면서도 "안 전 대표 쪽은 출마 쪽에 좀 더 마음이 가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날 참석자 중에서는 불출마를 권유한 쪽이 조금 더 많았지만, 안 전 대표는 출마 쪽에 무게를 두고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했다고 한다. 또 다른 참석 의원은 "(안 전 대표는) 국민의당이 지속 가능한 중도 정당으로서 역할을 해야 하는데 그런 측면에서 당대표로 나갈 필요성이 있지 않나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대신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서 고민하고 있다. 반대하는 사람도 있고 이미 출마선언을 한 분들과의 관계도 있어서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또 다른 의원은 "출마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긴 했지만 결론은 아직까지 안 났다"며 "(출마 여부는)
【stv 정치팀】= 자유한국당이 '신보수주의'를 기치로 내걸고 혁신을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 과거 집권여당 시절부터 이어져온 계파정치의 구태(舊態)를 털어내고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얻는 새로운 보수 정당으로 거듭나겠다는 포부를 밝힌 것이다. 하지만 하나로 똘똘 뭉쳐 희망의 에너지를 발산해야 할 한국당이 혁신의 출발점에서부터 잡음을 내고 있다. 혁신을 성공시키자며 모인 소규모 집단에서는 벌써 이탈자가 발생했고 한국당의 혁신을 바라보는 시선에도 느낌표 대신 물음표가 그려지고 있다. 환골탈태를 꿈꿨던 당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당 혁신위원회는 전날인 2일 당의 혁신 방향을 담은 혁신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에는 신보수주의 가치의 깃발 하에서 ▲긍정적 역사관 ▲대의제 민주주의 ▲법치주의에 기초한 경제적 자유 ▲대내외적인 개방을 통한 글로벌 대한민국 등을 추구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지난 10년간 한나라당, 새누리당을 이은 현재의 한국당은 집권여당으로서 국리민복과 국가발전을 위해 당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역할을 망각했다"며 "한국당은 지금 절체절명의 위기를 직시하고 자기 혁신에 모든 노력을 경주할 때"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