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정치권이 아들의 학교폭력 전력으로 국가수사본부 발령이 취소된 정순신 변호사 논란에 대해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정순신 아들 학폭 논란을 윤석열 정부의 총체적 인사검증 부실로 확대하려는 모습이다. 국민의힘은 야권의 공세에 맞서 이재명 대표의 체포동의안 처리를 준비하는 ‘정치 공세’라며 논란 확산 차단에 주력하는 모양새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야당은 학폭이 국민 일상과 밀접한 이슈라는 점에 착안해 정순신 아들 학폭 논란을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에 대한 검찰의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한동훈 법무부 장관에 대한 역공의 기회로 삼으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민주당 김성환 정책위의장은 전날(26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한 장관의 (사법연수원) 동기인 정 변호사를 국수본부장으로 임명하려고 했다”고 공세를 했다. 아울러 한 장관의 인사검증 관리에 대한 권한을 축소하기 위해 이번주 중으로 인사검증관리단을 대통령실이나 인사혁신처로 이관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정치 공세’라며 야당의 비판을 차단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아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지만, 무대응 원칙으로 대응한
【STV 김충현 기자】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김기현 후보의 ‘KTX 울산역 역세권 땅 투기 의혹’ 관련 진상조사TF를 구성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적극 환영한다”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22일 김 후보의 KTX 울산역 의혹과 관련해 진상조사단TF를 구성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밝힌 가칭은 ‘김기현 의원 땅 투기 의혹 진상조사단TF’이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김 의원이 1998년도에 3만5000평의 땅을 당시 3800만원에 구입했다는 얘기가 있다. 현재 시세로는 몇백억이 되는 것 같다”면서 “시세차익이 1000배 이상 나온다는데 당시 KTX 노선 변경에 외압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것에 대한 해명이 정확하지 않은 것 같다”라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1998년 3800만 원에 구입한 맹지가 KTX 역세권으로 편입되면서 현 시세로 640억 원에 달한다는 의혹을 받았다. 울산역 연결도로가 김 후보의 입김으로 김 후보 소유의 땅을 지나도록 변경됐다는 것이다. 해당 의혹은 2021년 양이원영 민주당 의원이 처음 제기했지만, 그동안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다가 당권 경쟁자인 황교안 후보가 지난
【STV 차용환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깜짝 방문했다. 우크라이나는 “역사적인 날”이라면서 적극 환영했지만, 러시아는 바이든 대통령이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선거운동에 나선 것이라고 비아냥 댔다. 20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 등 주요외신 등에 의하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1년을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전격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하고 추가적인 군사 지원 방침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이 여기 있다”면서 “우리는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푸틴의 정복 전쟁은 실패하고 있다”면서 러시아가 선전하는 우크라이나의 약함과 서방의 분열은 잘못됐다고 일갈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깜짝 방문에 키이우 주민들은 크게 기뻐했다. 한 키이우 주민은 “아무도 (바이든의 방문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라면서 “역사의 한 부분”이라고 흥분했다. 또 다른 주민도 “전 세계가 미국이 우크라이나를 지지한다는 것을 봤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언론들도 이날 바이든 대통령의 키이우 방문을 대대적으로 다뤘지만, 그의 행보가 2024년 미국 대선 선거운동이라는 점을 집중 거론했다. 러시아의 한 중
【STV 차용환 기자】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재개하며 미국에 위협적인 언사를 퍼부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20일 오전 담화를 발표해 “최근 조선반도(한반도) 지역에서의 미군의 전략적 타격 수단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다”면서 이처럼 말했다. 김 부부장은 “우리는 그것이 우리 국가의 안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치밀하게 따져보고 있다”면서 “직·간접적인 그 어떤 우려가 있다고 판단될 때에는 상응한 대응에 나설 것임을 이 기회에 다시금 기정사실화하려고 한다”라고 했다. 그는 “태평양을 우리의 사격장으로 활용하는 빈도수는 미군의 행동성격에 달려있다”면서 한미의 군사적 행동 수위에 따라 비례적인 맞대응에 나설 뜻임을 분명히 했다. 김 부부장은 지난 18일 발사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에 대해 우리 측에 제기된 각종 분석에 대해 “역시 매사에 바보들이 생각하고 노는 꼴은 영낙없이 세간의 웃음을 자아낸다”면서 “하루 지켜보았는데, 추측, 억측, 나름대로의 평가가 참으로 가관이 아닐 수 없다”라고 비웃었다. 김 부부장은 한미가 “‘정보당국 간 긴밀한 공조’ 하에 그 무슨 특수한 수단과 방식으로 감시하고 있었다는 식
【STV 차용환 기자】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10일, 11일, 12일에 각각 북미 상공에서 격추된 미확인 물체 3개를 중국과 무관한 상업용 비행체라고 밝혔다. 이러한 사실은 지난 4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해안에서 미군이 격추한 중국 정찰 풍선으로 인해 야기된 긴장이 완화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14일(현지시간) 브리핑을 통해 지난 4일 격추된 중국 정찰 풍선과 다르게 “(10~12일 발견되) 물체들은 상업적이거나 무해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풍선일 수 있다”고 했다. 커비 대변인은 또 “이들이 중국의 정찰 풍선 프로그램의 일부거나 미국에 대한 정보 수집을 하고 있다는 징후는 현재까지 발견하지 못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이 중국의 광범위한 정찰을 당했다는 우려를 다소 완화시켜 줄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북미 지역에서는 10일 알래스카주 해안 상공, 11일 캐나다 유쿤 준주 상공, 12일 미국-캐나다 접경 지역 휴런 호수 상공에서 미확인 비행물체가 격추됐다. 이렇게 격추된 미확인 비행물체가 중국의 정찰 풍선이 아니냐는 의심이 커지면서 미 의회에서
【STV 차용환 기자】당론과 반대되는 상황에서도 “안보는 초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며 나선 야당 의원이 있다. 지난달 31일 국회 정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 참여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은 여야 의원들 앞에서 “국가 안보 분야에서 상당한 전문성을 축적한 역량 있는 직원들이 국정원을 떠나는 건 가까운 미래에 나라의 큰 손실”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발의한 ‘국가정보원직원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 의원 9명이 동참한 이 법안은 민주당에서는 김병기 의원이 유일하게 동참했다. 해당 법안은 국정원 조직의 전문성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국정원 직원 정년을 60세로 하고, 특정직 직원의 계급정년을 폐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안보 분야는 특수성으로 인해 경험 축적이 중요한데, 그간 국정원 정년 제대로 인해 50대 중반의 이른 나이에 퇴직을 하고 조직의 사기가 꺾이는 악순환이 벌어져왔다. 민주당은 이 법안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최근 국정원의 간첩단 수사 등에 대해 내년 경찰로 이관되는 대공수사권을 유지하기 위한 포석으로 의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정치 편향 논란에 휩싸인 국정원 직원들의 정년 연장을 거부하겠다는 입장
【STV 차용환 기자】대통령실이 국민의힘 당권주자인 안철수 의원을 거세게 비난하며 비윤(석열)계로 몰아붙였다. 대통령실의 강도높은 비난으로 인해 당무개입 논란이 일자 대통령은 지난 6일 “국회의원보다 당비를 10배 더 내는데 당원으로서 대통령은 할말 없을까?”라면서 논란에 반박하고 나섰다.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5일) “대통령은 표가 있다”면서 “표가 있는 분이 한쪽으로 가는 거야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도 당원으로서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고, 이 표가 윤심을 향하는 후보에게 갈 것이라고 시사한 것이다. 대통령실은 안 의원의 ‘윤안(윤석열-안철수) 연대’, ‘윤핵관’ 등의 발언을 거세게 맹공하면서 그 명분으로 거액의 당비를 납부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서울 용산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매달 300만 원에 달하는 당비를 납부하고 있음을 알렸다. 또한 안 의원에 대한 비판은 팩트를 지적한 것이지, 당무나 선거에 개입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하고 나섰다. 대통령의 당무개입 논란을 피해가면서도 안 의원을 비판하며 할 말은 하겠다는 점을 재차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해당 관계자는 “당무개입이란 말도 나오는
【STV 차용환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고령 재선에 도전할까.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도전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공화당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일찌감치 재선 출마 선언을 했다. 이에 따라 차기 미국 대선은 ‘노인의 전쟁이 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현직으로 대선 출마(재선)에 있어 가장 유리한 입장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현직 대통령이 재선 도전을 선언할 경우 무난하게 출마하는 것이 관행이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 도전에 나설 경우 82세로 역대 최고령 도전자 기록을 세우게 된다. 고령으로 인해 판단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농담이 아닌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달 CNBC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원의 57%가 바이든의 재선 도전에 반대했다. 반대의 이유로 민주당원 61%는 고령을 지적했다. 이 같은 상황은 트럼프 전 대통령도 마찬가지다. 그는 일찌감치 재선 도전을 선언한 상황에서 재선에 나가는 나이가 78세(2024년)나 되기 때문이다. 관건은 각 당 유권자들의 표심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 재선 도전을 밀고 나갈 경우 무난하게 재선 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론 디샌티스 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