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섰다.
반서방 성향을 추구하는 북·중·러의 지도자가 한 자리에 모였다.
김 위원장은 열병식 이후 북러 정상회담도 진행했다. 회담에서 두 정상은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을 언급하고 ‘혈맹’ 관계임을 재확인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북한군과 가족들이 겪은 희생을 절대로 잊지 않을 것”이라고 고마움을 표했다.
그간 북한과 러시아는 북한의 파병 사실을 공공연히 부인해왔지만, 이제 공식적인 자리에서 북한의 파병 사실을 명백하게 인정한 것이다.
김 위원장도 “우리는 협정의 틀 안에서 이 협정에 따른 의무로 러시아 국민·군대와 함께 싸웠다”며 북·러 간 조약을 언급했다. 또 “내가 당신과 러시아 인민을 도울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반드시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러는 지난해 6월 푸틴 대통령의 방북 당시 양국 중 한쪽이 전쟁 상태에 처하면 다른 쪽이 군사 및 기타 지원을 한다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했는데, 김 위원장도 이 조약을 거론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반서방연대 국가 중에서도 선도 국가인 중국과 러시아 정상과 나란히 서며 북한의 위상을 높였다.
러시아와는 안보, 중국과는 경제 협력을 강화해 일종의 ‘중·러 외교 밸런싱’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날 천안문 망루에서 시 주석과 나란히 서면서 북한의 위상을 공고히 한 장면도 역사에 남을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과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며 공식적으로 북한 핵 개발을 반대해왔다. 하지만 이날 회동으로 ‘핵보유국’ 지위도 암묵적으로 인정받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