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보좌진 갑질 의혹과 인사청문회 ‘거짓 해명’ 등 각종 논란에 휩싸였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자진 사퇴했다.
강 후보자가 사퇴하면서 부정적 여론에도 임명을 강행하려던 이재명 대통령은 정치적 부담을 덜게 됐따.
그러나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1기 내각 후보자들이 2명이나 낙마하면서 인사 시스템은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강 후보자의 사퇴는 이재명 정부로만 따지면 세 번째 고위급 인선 실패이다.
앞서 오광수 초대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임명 나흘 만에 차명 부동산 의혹으로 사퇴했고,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유학 논란 끝에 지명이 철회됐다.
여기에 강준욱 전 대통령 국민통합비서관은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옹호 발언 및 식민지 근대화론 주장 등이 문제로 불거지며 자진 사퇴했다.
대통령실 참모진에 대한 인사 검증 문제가 불거지면서 시스템의 허점이 확인됐다.
강 후보자의 자진사퇴는 24일로 예정된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 기한을 하루 앞두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이뤄졌다.
강 후보자는 23일 오후 강훈식 비서실장에게 사퇴 의사를 표명했다. 이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자진 사퇴의 변을 올렸다.
이 대통령은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정치적 부담을 덜게 됐다. 친명계 의원인데다 여당 의원 출신 후보자를 지명 철회한다는 부담을 피하면서 이 대통령의 발걸음은 가벼워지게 됐다.
그러나 대통령실의 인사 검증시스템에 구멍이 뚫렸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면서 대통령실이 시스템 전반을 재검토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