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무연고 사망자가 크게 증가하면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인에 대한 애도 문제와 함께 사회 전체의 비용도 증가하고 있어 이를 어떻게 다루느냐가 향후 무연고 사망자 문제의 방향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무연고 사망자는 해마다 큰 폭으로 늘고 있다.
3,136명(2020년)→3,603명(2021년)→4,842명(2022년)→5,415명(2023년)으로 해마다 600~1000명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시내 한 장례식장 관계자는 “한 달 치르는 장례 건수의 절반은 무빈소 장례이며, 그 중에 상당수는 무연고 사망자”라고 귀띔했다.
무연고 사망자 시신이 안치될 장례식장을 찾지 못해 서울에서 헤매는 경우도 종종 벌어진다.
1인 가구 증가와 경제적 어려움 등이 겹치며 무연고 사망자는 필연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지자체별로 공영장례 지원 조례를 마련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해마다 늘어나는 무연고 사망자를 모두 감당하기가 쉽지 않다.
무연고 사망자이지만 연고자와 연락이 닿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 경제적 이유로 시신 인수를 포기해 무연고 사망자로 남는 경우가 70% 가량이나 된다.
무연고 사망자가 크게 늘면서 고인에 대한 애도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무연고 사망자의 시신의 존엄한 마지막을 위한 과정에 비용이 들어가는데 ‘예산이 부족하다’는 아우성도 있다. 각 지자체에서 예산을 마련하고 있지만,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아야 하는 빠듯한 살림이라 충분한 예산을 마련하기가 어렵다.
일각에서는 ‘공영장례 보험’ 혹은 ‘기본 장례’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국가가 국민의 장례를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번번히 예산 및 우선순위 문제로 뒷전으로 밀리기 일쑤다.
장례 전문가들은 지금부터라도 본격적으로 사회적 논의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 장례 전문가는 “해마다 무연고 사망자가 큰 폭으로 늘고 있어 이들을 마지막을 어떻게 챙길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두 손 놓고 있다가는 손 쓸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