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형석 기자】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전달받은 상호 관세 관련 서한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이 사안을 ‘국익의 총력전’으로 규정하고, 관세율 인하 및 조기 한미정상회담 성사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이 대통령에게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당초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유예하겠다는 서한을 보냈다. 관세율 자체는 유지됐으나, 협상 시간을 3주가량 벌 수 있게 된 셈이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은 8일 오전 “오늘 오후 1시30분 김용번 정책실장 주재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회의에는 대통령실의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과 함께, 국무조정실·산업부·기재부·외교부 차관급 인사들이 참석한다.
이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DC에 급파된 위성락 안보실장으로부터 현지 상황을 실시간 보고받고 있으며, 가능한 한 빠르게 한미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 상황이 또다시 유동적으로 변할 가능성까지도 염두에 두고서 총력 대비를 하며 협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협상이 실패할 경우 한국 경제와 이 대통령의 국정 동력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비공식 채널까지 동원해 외교적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안보 라인을 외교관 출신으로 포진시킨 것도 이 같은 외교 전략의 일환이다.
위 실장은 전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의 회동에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모든 현안에서 상호호혜적 결과를 진전시켜나가길 희망한다”고 밝혔으며, 미국 측도 이에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