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SJ news

장례, 용어부터 제대로 써야…공식용어 대중화 시급

납골당·봉안당 혼용 심각…세상에 ‘호상’은 없어


【STV 김충현 기자】장례업계에서는 용어가 똑바로 잡히지 않고 혼란스럽게 쓰이는 것들이 여럿 있다.

대표적인 것이 납골당과 봉안당이다. 기존 언론의 보도를 보면 ‘납골당(納骨堂)’이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공식 용어인 ‘봉안당(奉安堂)’보다도 납골당이라는 표현이 여전히 널리 쓰이는 듯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엄연히 봉안당이 공식 용어이다. 2005년 5월 25일 산업자원부 기준표준원은 일제시대에 유입된 ‘납골당’이라는 용어를 봉안당으로 바꿔쓰는 KS규격을 만들었다.

납골이라는 표현은 일본식 표현으로 장례에 대해 부정적 의미를 내포한다는 국민 정서를 고려해, 안전하고 편안하게 모신다는 ‘봉안’으로 바꾼 것이다.

이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도 납골 대신 봉안으로 표기했다. 2007년 5월 25일 장사법 개정안이 통과하면서 납골은 모두 봉안으로 바꾸어 쓰게 됐다.

납골묘, 납골당, 납골탑 등의 건축물 명칭 표기도 봉안묘, 봉안당, 봉안탑 등으로 바뀌었다.

일각에서는 호상(好喪)이라는 표현도 쓴다. 사전적 의미는 ‘복을 누리며 별다른 병치레 없이 오래 산 사람의 상사’를 일컫는다.

사람들은 노부모가 천수를 누린 후 편안히 돌아가실 때 주로 ‘호상’이라는 표현을 쓰곤 한다.

하지만 이는 조문객의 입장일 뿐 고인을 잃은 유가족이나 지인의 입장에서는 결코 호상이라고 부르기 어렵다.

세상에 안타까운 죽음이 없기에 장례식장 빈소에서 “호상이라 그래도 괜찮겠습니다”라는 말을 하는 건 예의에 어긋날 수 있다.

괜히 부모가 돌아가시면 천붕지통(天崩之痛, 하늘이 무너지는 슬픔)이라고 하고 자식이 죽으면 참척(慘慽, 참혹한 슬픔)이라고 했을까.

장례업계의 혼돈스러운 용어부터 바로 잡아야 업계가 사회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다. 하나하나 바꿔나가자.


문화

더보기
[칼럼] 프리즈와 키아프, 시장을 넘어 예술의 힘을 증명하다 【STV 박상용 기자】서울의 9월은 이제 세계 미술계의 달력이 주목하는 시기가 되었다. 국제 아트페어 ‘프리즈(Frieze) 서울’과 국내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 ‘키아프(KIAF)’가 같은 시기, 같은 공간에서 열리며 만들어낸 ‘키아프리즈’는 단순한 장터를 넘어 한국 미술의 위상을 보여주는 장이 되었다. 올해 프리즈에는 48개국에서 약 7만 명이 찾았고, 키아프에는 8만 2천여 명이 방문했다. 전시장을 찾은 이들은 단순한 관람객이 아니라 세계 유수 미술관과 기관 관계자, 그리고 젊은 수집가들까지 아우르며 한국 미술시장의 저변이 얼마나 넓어지고 있는지를 증명했다. 특히 뉴욕현대미술관(MoMA), 영국 테이트 모던, 일본 모리 미술관 등 글로벌 기관 관계자들의 발길은 한국 미술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높아졌음을 상징한다. 시장의 성과도 눈에 띄었다. 프리즈 첫날부터 수십억 원대 작품이 거래됐고,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의 회화가 62억 원대에 팔리며 역대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국내에서는 김환기의 작품이 20억 원에 거래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키아프에서도 박서보, 김창열 등 한국 거장의 작품은 물론 신진 작가들의 작품까지 고루 판매되며 ‘저변 확대’라는 긍정적

지역

더보기
프리드라이프, 상조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 론칭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상조업계 최초로 호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는 오는 11월 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을 기념해 6월 한 달간 ‘처음 만나는 호주’ 크루즈 얼리버드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프리드라이프가 처음 선보이는 호주 크루즈 여행은 11월 3일 대한항공 직항으로 호주 브리즈번에 도착한 후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 로얄캐리비안의 퀀텀호를 타고 7박 8일간 호주 일대를 누비며 관광과 휴양을 즐기는 상품이다. 브리즈번은 호주를 대표하는 제3의 항구도시로 아름다운 섬과 해변을 자랑한다. 브리즈번 강가에 자리한 인공 해변 스트리트 비치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마운틴 쿠사 전망대에 올라 탁 트인 브리즈번 시내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물이 가득한 도심 정원인 보타닉 가든과 40km의 황금빛 해변이 펼쳐지는 골드코스트 비치, 청록빛 바다와 해안선이 환상적인 에얼리 비치 등 호주를 대표하는 명소들이 즐비하다. 호주 퀸즈랜드주의 대표 휴양도시인 케언즈도 빼놓을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원시 열대우림 쿠란다는 영화 ‘아바타’의 모티브가 된 원시의 숲으로, 쿠란다 시닉 레일 웨리

연예 · 스포츠

더보기
손·레비 OUT에도 포스테코글루, 전격 노팅엄 감독 취임 【STV 박란희 기자】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무대에 깜짝 복귀했다. 토트넘에 17년 만에 메이저대회(유럽축구연맹 유로파리그) 우승컵을 안기고도 시즌 종료와 함께 경질됐던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다시 EPL 감독직을 맡았다. 노팅엄 구단은 9일 밤(한국시간) 구단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팀의 새 사령탑으로 포스테코글루 감독을 임명했다’라고 밝혔다. 노팅엄 구단은 전날 누누 에스페리투 산투 감독을 전격 경질했다. 누누 감독은 에반젤로스 마라나카스 구단주와의 불화로 인해 경질됐다. 시즌 초반 그라운드에서 두 사람이 충돌하는 모습이 포착되며 불화설이 나왔다. 마라나카스 구단주는 자신에게 대항하는 누누 감독을 단숨에 잘라냈다. 누누 감독의 빈자리를 포스테코글루 감독이 채우게 됐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호주 출신 무명 감독으로 셀틱 우승을 이끈 후 2023~2024 시즌에 전격 토트넘 감독으로 부임했다. 현역 시절 EPL 경험이 없고, 호주 대표팀, 일본 J리그 요코하마, 스코틀랜드 셀틱 등을 이끈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토트넘 취임은 화제를 모았다. 하지만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특유의 카리스마를 앞세워 첫 시즌에 손흥민을 주장으로 임명하고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