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신위철 기자】인공지능 반도체 주도주인 엔비디아가 액면 분할 후 첫 거래일에 0.75%가 상승하면서 시가총액 2위에 올랐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거래일보다 0.75% 상승한 121.79달러가 됐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시총은 2조9960억 달러로 집계되면서 다시 시총 2위를 탈환했다. 엔비디아는 지난 5일 주가가 5% 이상 급등하면서 시총 3조 달러를 돌파했고, 애플을 누르고 시총 2위에 올랐다. 다시 주가가 다소 하락하면서 시총 3조 달러를 밑돌았다. 하지만 이날 상승세를 탄 덕분에 시총 3조 달러 돌파가 눈 앞으로 다가왔다. 이날은 시총 3조 달러 돌파는 실패했지만 시총 2위인 애플이 2% 정도 급락하면서 시총 2위에 올랐다. 이날 MS의 시총은 3조1800억 달러였다. 엔비디아와 차이는 1850달러에 불과하다. 엔비디아가 다시 상승세를 탈 경우 시총 1위에 오를 가능성도 있다. 엔비디아는 액면 분할 및 수요 증가 가능성이 추가 주가 상승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따르면 액면 분할을 한 주식은 1년 후 평균 25.4%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비디아는 이번 액면 분할로 다우지수 편입 가능성도 커
【STV 신위철 기자】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간판 프랜차이즈 브랜드 ‘홍콩반점0410’(이하 홍콩반점) 점검에 나선 가운데 일부 점주들이 촬영을 거부했다. 이들이 지점 점검조차 거부하자 백종원은 “이러다 홍콩반점 전체가 망한다”라며 분노를 표했다. 백 대표는 지난 10일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내꺼내먹_홍콩반점 2편] 지금도 계속 변화 중입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앞선 영상에서 백종원은 “(특정)매장에서 매뉴얼 북과 레시피 영상을 참조하지 않는 것 같다”면서 “더 간단한 영상을 매장에 비치해 따라해볼 수 있게, 기본은 나올 수 있는 프로젝트를 하려 한다”라고 한 바 있다. 이번 영상에서는 앞서 진행된 기습점검 후 문제 개선에 나선 백 대표의 모습이 담겨 있었다. 백 대표는 사내 중식 담당자를 불러 레시피를 꼼꼼하게 확인했다. 백 대표는 “면의 물터는 게 짜장면의 맛에 가장 중요하다”, “웍에서 짜장을 볶고 바로 다른 그릇에 옮겨 담는 것까지 (레시피에) 넣어야 한다. 안 그러면 웍의 열이 높아 바로 타 버린다”라고 조언했다. 점주들을 재교육한 백 대표는 앞서 맛이 문제가 된 지점들을 재점검 했다. 탕수육 튀김옷이 너무 두꺼워 용기에 붙
【STV 신위철 기자】지난달 31일 부산 도심 한복판에서 발생한 부탄가스 5600개 폭발 사고는 마트 공터가 아니라 인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마트 손님들이 주로 이동하는 곳으로 자칫 대형참사로 연결될 수도 있었다. 지난 3일 연합뉴스는 지난달 31일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신도시의 한 마트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 영상을 확인해 이처럼 전했다. 당시 인도에 적재된 부탄가스 5600개가 폭발하며 거대한 불길이 치솟았고, 차량 10여대와 마트 유리창 등이 파손되는 대형 사고로 이어졌다. 앞서 부탄가스가 적재되고 불이 시작된 곳은 마트 주차장 혹은 공터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사람이 다니는 인도였다. 해당 마트는 자신들의 사유지가 아니라 구청 관할인 인도에 인화성 물질인 부탄가스 수천 개를 적재해뒀다가 사고가 난 것이다. 경찰은 “부탄가스가 적재된 곳은 인도”면서 “주로 마트에서 주차한 사람이 마트 출입문으로 이동하는 보행로로 사용되던 곳”이라고 밝혔다. 마트 측은 다음 주 할인 행사를 위해 평소보다 많은 부탄가스 5600여 개를 차량에서 내려 잠시 팔레트 위에 쌓아둔 것으로 알려졌다. 가정용 부탄가스를 500kg 이상 보관하려면 지자체에서 저장 장소
【STV 신위철 기자】금융투자소득세가 내년 1월 전면 시행되는 가운데 경제계에서는 찬반 논란이 여전히 뜨겁다. 금투세에 찬성하는 측에서는 “‘소득있는 곳 과세’는 원칙”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하는 측에서는 “전국민 하향평준화 프로젝트”라면서 맞서고 있다. 2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민주연구원 채은동 연구위원은 “소득이 있는 곳에 과세한다라는 과세 원칙”이라면서 “이게 글로벌 스탠다드”라고 강조했다. 채 위원은 “OECD 35개국 중에 우리나라 같은 형태로 부분적으로 하는 나라가 한 3개국 정도 있고 나머지는 다 전면 과세하고 있다”면서 “아카데믹하게 좌파나 우파나 그런 교수님들도 대부분 다 ‘이거는 우리나라가 해야 되지 않나’ 동의한다”라고 했다. 이어 채 위원은 “이미 우리나라는 로드맵이 가동되고 있다”면서 “2013년부터 상장주식 대주주 과세 기준이 계속 낮춰졌고 거래세는 지금 계속, 상장주식 과세기준도 완화를 해왔고 그리고 거래세는 계속 낮춰왔다. 그런 큰 틀에서 이 과세를 봐주면 좋겠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정의정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는 “한마디로 (금투세는) 전 국민 하향평준화 프로젝트”라면서 “민주당은 ‘소득 있으면 세금 내
【STV 신위철 기자】코스닥 상장 바이오기업 HLB가 이틀 연속 하한가를 기록하면서 시가총액이 반토막 났다. HLB 하한가 첫날 급히 매도에 나선 개미들이 이튿날에는 ‘사자’에 나섰다가 다시 하한가를 맞으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양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HLB는 29.96% 하락해 4만7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17일에 이어 연속 하한가를 기록한 것이다. 시총 또한 지난 16일 12조5335억원에서 6조1497억원으로 단 이틀만에 51%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날 하한가 매도 잔량이 344만주 가량 남아 이날도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남아있다. 첫 하한가를 기록한 지난 17일 ‘팔자’에 나섰던 개인 투자자들은 전날 매수 우위를 보였다. 개인 투자자들은 전날 67억원을 매수했으며, 기타법인도 8억원 가량 매수했다. 전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2억원, 16억원을 매도하면서 물량을 털어냈다. 인터넷 각종 커뮤니티에는 “한순간에 벼락거지행”, “연봉 모두 날려 눈 앞이 깜깜” “하한가가 이틀째라니” 등등 암담한 투자자들의 심정이 쏟아졌다. HLB 주가 폭락은 진양곤 HLB 회장이 지난 17일 유튜브를 통해 간암 신약 ‘리보
【STV 신위철 기자】미국 다우지수가 4만포인트를 돌파하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 다우는 전일보다 0.10% 하락한 3만9869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하지만 장중 한때 4만포인트를 돌파한 4만51포인트까지 치솟았다. 다우지수는 2020년11월 3만 포인트를 돌파한 후 873거래일 만에 4만마저 넘어섰다. 2022년 9월 저점 대비 약 40% 급등한 수치로, 코로나로 주가가 급락한 2020년 봄 이후 두배 이상 급등한 수치이다. 고금리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다우가 4만을 돌파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시장금리)는 지난해 10월 16년 만에 처음으로 5%를 돌파했으며, 현재 4.5% 내외이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 1.90%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고금리를 극복하게 만든 건 인공지능(AI) 신드롬이다. AI 수혜주인 엔비디아는 올 들어 90% 폭등하면서 월가의 랠리를 부채질하고 있다. 시총도 2조 달러를 돌파하며 각광을 받는 중이다. 엔비디아가 급등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MS) 또한 시총 3조 달러를 돌파하는 등 테슬라를 제외한 매그니피센트 7도 급등을 이어가고 있다. AI 특수가 이어지면서 조기 금
【STV 신위철 기자】일본 정부가 라인야후에 한국 네이버와 자본 관계 등을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내린 데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네이버 의사를 존중한다는 뜻을 밝혔다. 과기부는 현재 라인사태를 예의주의하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가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8일 내놓았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세종시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이처럼 말했다. 이 장관은 정부의 대응이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비판에 “지난해 말부터 네이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다”면서 “나서야 될 자리와 나서지 말아야 될 자리 (따져서) 국익을 위해 필요한 도움이 있다면 주고 있다”라고 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도 “네이버가 지난 3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과기부를 비롯한 관계부처에 특별히 감사드린다'는 말을 했는데 (그 말의) 행간에 이런 일들이 있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강 차관은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 과기부가) 일일이 말하는 게 네이버의 이익을 (오히려) 침해할 수 있다”라고 했다. ‘라인’의 운영사인 라인야후는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공동출자해 세운 지주회사 ‘A홀딩스’가 대주주이며, 지분률로 보면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의
【STV 신위철 기자】한국형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인도네이사명 IF-X)의 공동 개발국 인도네시아 측이 당초와 달리 “분담금의 3분의 1가량만 내고 기술 이전도 덜 받겠다”라고 제시한 데 대해 우리 정부는 인니 측과 최종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방산분야 외에도 인니 측과의 외교관계 또한 고려해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해 우리 정부가 인니 측 제안을 수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경호 방위사업청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인니 측의) 제안이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 “지금 신속하게 최종적인 협의를 완료하려고 한다”라고 했다. 최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KF-21의 개발 성공을 위해 인니 분담금 납부와 관련해 인니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왔고 적극적으로 노력을 해왔다”면서 “최종 협의가 완료되면 관련 사항들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다”라고 했다. 인니 측은 우리 정부에 기존에 납부한 약 3000억 원 외에 오는 2026년까지 약 3000억 원을 추가로 납부해 총 6000억 원의 KF-21 분담금을 납부하겠다고 제안했다. 또한 기술 이전도 기존 대비 3분의 1가량만 받겠다고 했다. 우리 정부가 해당 제안을 받아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