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미국은 영국과 처음으로 무역 합의에 이르렀다.
이번 협상 결과는 세계 각국에 선례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이 어떤 관세를 어느 정도까지 적용할지 관측이 되기 떄문이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8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미국과 영국이 이날 합의한 무역 협상에 대해 “이것은 바로 우리가 맺어야 할 협상의 유형”이라며 “다른 국가들이 이를 모델로 삼아야 한다”라고 했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은 자동차 관세 등 품목별 관세를 국가별로 면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식 발표에 따르면 미국은 영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무관세 적용을 약속했고, 자동차 관세도 영국산 자동차에 대해 10만 대에 한 해 10%로 인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및 알루미늄(3월 12일 발효), 자동차(지난달 3일 발효) 등 품묵당 관세를 각 25%씩 부과한 바 있다.
세계 각국은 지금껏 품목별 관세의 면제 여부에 주목했다.
미국 측은 지난 1일 워싱턴DC에서 열린 일본과 2차 관세 협상에서 25%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와 25%의 자동차 관세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이번 협상으로 미국은 품목별 관세를 면제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한국도 이 같은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 자동차가 주력 수출 품목으로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 달러에 달해 전체 미국 수출의 27.1%이다.
다만 미국은 상호관세 중 10% 관세는 면제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재확인했다. 영국도 이번 합의에서 10% 기준 상호 관세는 면제를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