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1일 자신의 탄핵심판 변론을 위해 직접 헌법재판소에 출석했다.
윤 대통령은 선거관리위원회의 부정선거 가능성을 주장하며 12·3 비상계엄의 불가피성을 주장했다.
심판 종료 직전 “국회와 언론이 ‘초갑(甲)’”이라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출석해 총 4차례 발언했다.
정장에 붉은색 넥타이를 매고 출석한 윤 대통령은 심판 시작 전 “저는 철들고 난 이후로 지금까지 공직 생활을 하며 자유민주주의 신념 하나를 확고히 갖고 온 사람”이라고 운을 뗐다.
계엄 선포 이유로 ‘자유 민주주의 사수’를 제시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국가비상입법기구 쪽지’의 존재를 부정했다.
윤 대통령은 “저는 이걸 (최 대행에게) 준 적도 없고 나중에 이런 계엄을 해제한 후에 한참 있다가 언론에 메모가 나왔다는 것을 기사에서 봤다”라고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선관위의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대리인단의 변론에 첨언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부정선거 의혹 음모론 등 계엄 정당화를 위해 사후 만든 논리라고 하는데 이미 계엄 선포 전에 선거 공정성에 대한 신뢰에 의문이 드는 게 많이 있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선관위 전산 장비를 전체적으로 스크린(점검) 가능하면 해봐라(고 했다)”라면서 “음모론 제기가 아니라 팩트 체크 차원이었음을 이해해달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으로 국회, 중앙선관위 청사, 선거연수원에 진입하는 계엄군의 CCTV 영상에 대해 “국회 의결을 방해했다고 하는데 설령 군을 투입해 방해했더라도 그 이후 더 이상 계엄해제 요구를 못 하냐? 저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면서 “대한민국에서 국회와 언론은 대통령보다 더 강한 ‘초갑(甲)’”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후 현재 변론에도 출석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 변호인인 윤갑근 변호사는 이날 심판 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은 탄핵심판 기일에 모두 출석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