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김대중 전 대통령(DJ)의 셋째 아들인 김홍걸 전 의원이 거액의 상속세 부담으로 인해 김 전 대통령의 서울 동교동 사저를 일반인에게 매각한 후폭풍이 거세다.
이에 대해 침묵을 이어가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도 “풀어나갈 방법을 찾겠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DJ의 동교동 사저 매각 사실은 지난달 29일 한 언론의 보도로 세상에 알려졌다. 김홍걸 전 의원은 거액의 상속세를 감당하지 못해 100억 원에 이 집을 매각했다.
이 집을 매입한 건 동교동 인근의 대규모 프랜차이즈 제빵학원을 운영하는 사업자 3명이다.
DJ 사저 매각 사실이 화제가 된 건 이 사저가 DJ와 함께 한 현대사의 현장이기 때문이다. 1961~1995년, 2003년 대통령 퇴임 이후부터 2009년 서거 전까지 DJ가 이 곳에서 지내면서 가택연금을 거쳐 수많은 정치인과 재야 인사들이 드나들었다.
DJ의 마지막 비서실장을 지냈던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정기예금 6억1천만원을 사저 매입 비용으로 선뜻 내놓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동교동 사저는 김대중 대통령께서 박정희 정권의 암살 위협과 시도, 전두환 정권의 가택연금과 사형선고를 견디며 끝내 이기신 역사의 현장”이라며 시·도 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사저 매각 논란에 침묵을 이어가다 김민석 의원이 페이스북을 통해 “매각 연유가 어찌 됐든 민주당과 내가 DJ의 유업을 이어야 할 주체로서 책임감을 갖고 풀어나갈 방법을 찾겠다”는 이재명 당대표 후보의 발언을 전했다.
김 전 의원 측은 이번 사태에 대해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앞서 지난 5년 간 김대중재단과 상속세 문제 등을 논의했음에도 해법을 못 찾아 결국 매각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김 전 의원 측은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동교동계 모두 이 문제를 알고 있었지만 해결할 의지가 없었으면서, 이제 와서 김 전 의원을 파렴치범으로 몰고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