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지난 13일 “중국에 셰셰(謝謝, 고맙다) 하면 된다”고 한 과거 자신의 발언에 대해 “제가 틀린 말을 했나”라며 정면돌파 했다.
이날 대구백화점 앞에서 유세에 나서 “제가 (지난해에) ‘셰셰’라고 했다. ‘중국에도 셰셰 하고 대만에도 셰셰 하고 다른 나라하고 잘 지내면 되지, 대만하고 중국하고 싸우든 말든 우리와 무슨 상관이냐’고 말했다. 제가 틀린 말을 했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국익 중심으로 중·러(중국·러시아)와의 관계도 잘 유지하면서 물건도 팔고 그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도 했다. “제가 일본 대사에게도 '셰셰'라고 말을 하려다가, 못 알아들을 것 같아서 ‘감사하므니다’라고 했다. 제가 잘못됐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해 3월 이 후보는 “중국에도 셰셰,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되지 뭘 자꾸 여기저기 집적대나”라고 말해 친중 논란이 커졌다.
해당 발언이 국익이 우선된 실리 중심의 외교를 강조했다는 취지로 해명에 나선 것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이 후보의 해명에 대해 “셰셰(라고) 못한다는 게 아니라 친중반미, 친북 반(反) 대한민국, 이건 안 된다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또한 “민주당이 국내에서는 인권과 가치를 이야기하면서 중국에 대해 할 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젊은 세대가 (민주당의) 대중국관을 비판하는 것”이라며 “중국보다 두려운 것은 중국몽에 휩싸인 사람이 대한민국의 정치 지도자가 되는 것”이라고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실제 이 후보의 발언은 국제 정치의 지형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만해협에서 중국과 갈등이 발생하면 주한미군의 운용 범위가 한반도를 벗어나 대만해협까지 뻗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안보 공백을 노리고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키우기 때문에 한국 안보에 직접적으로 위협이 커지는 도미노 효과가 일어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