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임정이 기자】시장에서는 경제위기에 대해 종종 동물로 은유하여 표현하곤 한다. 대표적으로 검은 백조과 회색 코뿔소가 언급되는데, 여기서 검은 백조(Black Swan)는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즉, 예상하지 못한 사건으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COVID-19 팬데믹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과 같은 경우이다.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던 일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일어난다면 그에 따른 파장은 매우 크다.
한편 서서히 다가오는 위험을 무시하다 큰 피해를 당하는 경우를 가리켜 회색 코뿔소(Grey Rhino)라고 한다. 한마디로 알고도 당하는 위험이다.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고를 하여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쉽게 간과하여 당하게 되는 위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부채가 이에 해당한다. 많은 사람들이 영끌이나 빚투를 통해서 투자를 한 상황에서 금리 인상의 이슈로 가계의 이자상환부담이 커지게 되고, 자산 가격 변동성이 커지게 되는 현재의 상황이 회색 코뿔소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레고랜드 사태 등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이 난항을 겪자 건설사에 대출 보증을 선 금융사들도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부동산 PF 규모를 크게 늘렸던 금융사들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에 빗대어 제2의 저축은행 사태가 벌어지는 거 아니냐하는 위기감마저 돌고 있다.
PF 즉,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은 자금을 빌리는 사람의 신용도나 다른 담보 대신 사업계획 즉,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보고 자금을 제공하는 금융기법이다. 이때, 자금을 투자받은 사업자는 수익성이 높은 사업에 투자한 이후에 발생하는 이익으로 채무를 상환하게 된다.
일반적인 담보대출의 경우 돈을 빌리는 사람의 현재 담보능력과 상환능력을 기준으로 대출의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반면, 부동산 PF는 앞으로 지어질 건물(담보물)과 그 건물을 분양해서 발생하게 될 현금흐름(상환능력)을 보고 대출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금융기관에서는 더 면밀히 대출심사를 진행하지만, 사업성만을 근거로 돈을 빌려 주다 보니 이자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최근에는 금리의 급등으로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자, 그동안 진행된 부동산 PF도 위태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부동산 PF의 경우 활황기에는 황금알을 낳는 사업으로 불리지만 미분양 물량 급증, 원자재가격 상승에 따른 사업성 악화, 유동성 위기 등 불황기에 접어들면 부실에 빠질 위험이 크므로 미리 대비해둘 필요가 있다. 규제가 느슨하고 불투명한 이른바 ‘그림자 금융’이라는 특성상 위기가 발생할 경우, 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부동산 PF 관련 부실이 현실화하면 그 시발점은 제2금융권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있다. 그동안 제1금융권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규제 강화에 나서면서 관련 수요가 고스란히 2금융권으로 쏠렸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팬데믹 이후 급팽창한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인해 공격적인 영업에 나섰던 저축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에 대한 위험관리가 시급하다.
지금은 검은 백조와 회색 코뿔소에 모두 대비해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