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박상용 기자】청와대가 20대 신임 청년비서관을 임명한 것을 두고 공정 논란과 함께 ‘이준석 효과’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은 지난 22일 MBC 라디오 표창원의 뉴스 하이킥 인터뷰에서 “(청년비서관 인사 검증이) 시작된 지 따져보면 두 달 전으로 이 대표가 제1야당 대표가 될 거라고 아무도 생각을 안 하고 있을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단지 청년 문제는 청년 당사자들의 고민이 반영되면 좋겠다라는 취지에서 시작된 것이며 기왕이면 여야 공히 정부도 청년 문제에 깊이 고민하고 있다는 시그널로 읽어준다면 좋겠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 수석은 당초 청와대는 두 명의 남녀로 공동청년비서관을 임명하려고 계획했다.
그는 “20대, 30대 남녀 공동으로 해보면 상당히 의미 있는 실험이 될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남성을 찾는데 실패했다”고 말했다.
박 비서관 임명을 두고 국민의힘 보좌진협의회가 청년들의 박탈감만 느끼게 한 인사라고 비판한 것을 두고서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받아쳤다.
이 수석은 “어느날 갑자기 누구 찬스를 써서 데려온 게 아니다”라면서 “박 비서관도 당에서 활동했고 사회적 활동을 하면서 평가받고 검증 받은 사람이다. 충분히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앞서 청와대는 박성민 전 민주당 청년최고위원을 청년비서관으로 임명했다. 그런데 청년비서관직이 1급 공무원에 해당하는 고위직인데다 박 전 최고위원이 사회생활 경험이 없는 20대 청년이라는 점 때문에 ‘불공정’ 논란이 불거졌다.
이 수석은 문 대통령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만남의 시기에 대해서는 특정하지 않았다.
이 수석은 “내실을 기해서 성과를 만들어내려면 차근차근 또박또박하자 이런 데 서로 합의를 봤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