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속 지원 안 해주면 생존을 장담할 수 없습니다.”
장례업계 관계자의 말은 절박했다. 장례식장이 소상공인 피해지원대책의 일환으로 재난지원금 검토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생존의 기로에 서있다.
타 업종은 영업시간을 조정하거나 최악의 상황에서는 휴업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견뎌내고 있다.
하지만 장례식장은 때를 가려서 사망자가 나오는 게 아닌데다 생활필수업종이기 때문에 휴업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여전히 맹위를 떨치면서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전과 비교해 볼 때 조문객 수는 3분의 1이나 그 이하로 줄어든 상황이다.
수시로 환기를 시키고,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상황에서도 조문을 꺼리거나 조의금만 온라인으로 송금하고 조문 자체를 피한다.
장례식장이 식사에 따른 부수 비용이 주 수입원임을 감안하면 코로나19로 막대한 타격을 입은 셈이다.
이에 장례업계에서는 “지원금 없이 버티기 힘들다”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달 8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현안질문에서 “계획은 인플루엔자 유행 전인 11월 정도까지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두번 접종을 3~4주 내에 해야 하는데 모두 접종받는 데까지는 시간이 조금 걸릴 거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집단면역을 한다고 해서 곧바로 코로나 이전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느냐다.
상조·장례업계 전문가들은 “이대로는 힘들다”면서 “정부의 조속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