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하늘숲 추모공원. 사진-국립하늘숲추모공원 캡쳐
‘친환경’이 시대정신으로 떠오르면서 자연스레 수목장을 향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국공립 수목장은 3곳에 불과한데다 불법 무허가 수목장이 난립해 단속이 시급하다. 사설 수목장은 1100곳에 달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재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해남·완도·진도)이 지난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의 44.2%가 수목장을 선호한다.
2014년 고려대 산학연구원 장사 방법 선호도 조사에서도 수목장(44.2%)의 인기가 납골당(37.0%)을 뛰어넘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자연장 이용률은 2016년 기준 16.7%에 그쳤지만 2027년에는 50%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수목장 선호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적절한 수목장 장지는 턱없이 부족하다.
국·공립 수목장 이용료는 200만 원으로 합리적인 수준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설 수목장은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사설 수목장을 이용하려면 추모목과 토지를 분양 받아야 하는데 추모목의 가격은 300만 원에서 수천만 원에 달한다.
또한 수목장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자 사설 수목장이 우후죽순으로 난립하여 무허가로 산지에 불법 수목장을 조성했다가 적발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사설 수목장을 운영하다가 경영이 어려워지거나 단속을 당하면 그대로 수목장지를 방치하는 경우도 왕왕 있다.
이렇게 되면 수목장을 한 유족들이 그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게 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장례업계 한 관계자는 “사설 수목장 요건을 엄격히 하고 국·공립 수목장지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