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 최대 명절 추석이 다가왔다.
올해 추석 분위기는 예년과는 다소 다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맹위를 떨치는 까닭에 귀성 행렬이 대거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성묘나 묘역 참배도 원격으로 하거나 대행해주는 인력을 써서 맡기려는 분위기가 강하다.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르려는 것이다.
하지만 명절 분위기를 위해 예년처럼 친척들끼리 모이는 경우도 적잖은 것으로 보인다. 일단 모이면 화기애애하게 음식도 만들고 서로의 안부를 물으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집안의 대소사를 논의하는 게 중요하다. 상조나 장례에 대한 논의는 한국 문화상 자칫 조심스러울 수 있다.
집안에 연로한 어르신이 계실 때는 더욱 그렇다. 하지만 상조·장례 논의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미리미리 장례 방법이나 조문객 초대 범위 등을 정하고, 유산에 대한 논의를 하면 막상 어르신이 세상을 떠났을 때 허둥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직계가족이 꺼내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보다도 더 좋은 것은 연로한 어르신이 직접 이런 논의를 주도하는 것이다.
자신의 장례 방법을 정하고, 유언을 미리 밝히며, 조문객 초대 범위를 지정해준다면 유가족이 될 집안 식구들은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명절에 미리미리 준비하여 혼란이나 불상사를 막자. 단순히 명절에 모여서 얼굴 보고 식사만 하지 말고 집안 대소사를 적극 논해야 한다.